-
31
-
대학 고전 교육의 방향 모색고교대학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중심으로
-
구자황;
숙명여자대학교;
(한민족문화연구,
v.49,
2015,
pp.565-593)
-
32
-
논술과 대학 글쓰기 교육의 연계성 고찰
-
구자황;
서원대학교;
(반교어문연구,
v.0,
2007,
pp.377-403)
-
33
-
근대 계몽기 교과서의 생산과 흐름-『新訂尋常小學』(1896)의 경우-
-
구자황;
숙명여자대학교;
(한민족어문학(구 영남어문학),
v.0,
2013,
pp.501-538)
-
34
-
근대 독본문화사 연구 서설
-
구자황;
숙명여자대학교;
(한민족어문학(구 영남어문학),
v.0,
2008,
pp.1-40)
-
35
-
대학글쓰기 교육의 반성과 전망
-
구자황;
숙명여자대학교;
(반교어문연구,
v.0,
2014,
pp.163-180)
-
36
-
대학 글쓰기 교재의 구성에 관한 일고찰
-
구자황;
숙명여자대학교;
(어문연구,
v.74,
2012,
pp.363-382)
-
37
-
학술적 담화 공동체의 삶과 글쓰기
-
구자황;
숙명여자대학교;
(우리말교육현장연구,
v.7,
2013,
pp.71-96)
-
38
-
근대 작문의 계보와 이태준의 『문장강화』
-
구자황;
숙명여자대학교;
(한민족어문학(구 영남어문학),
v.0,
2015,
pp.481-509)
-
39
-
대학 글쓰기 교재의 분기와 신경향
-
구자황;
숙명여자대학교;
(반교어문연구,
v.0,
2012,
pp.529-554)
-
40
-
근대 독본의 성격과 위상(3) —1930년대 독본(讀本)의 교섭과 전변을 중심으로
-
구자황;
숙명여자대학교;
(반교어문연구,
v.0,
2010,
pp.5-3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