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literature review of Inclusive Education Studies: Focusing on the legal policy elements
-
김경양,;
PARKEUNHYE,;
;
(특수아동교육연구,
v.18,
2016,
pp.171-199)
-
32
-
Educational Support System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’ Perception
-
이희연,;
표윤희,;
김경양,;
;
(특수교육연구,
v.25,
2018,
pp.152-175)
-
33
-
A Qualitative Study on Special Educators' Inclusive Education Experiences and Their Needs of Special Education Classroom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- Focused on Incheon Metropolitan City
-
표윤희,;
김경양,;
이희연,;
;
(지체·중복·건강장애연구 = Korean journal of physical, multiple, & health disabilities,
v.60,
2017,
pp.33-61)
-
34
-
The Dephi Study for Developing Korean AAC Intervention Social Service Model
-
남세현,;
김경양,;
KIMYOUNGTAE,;
PARKEUNHYE,;
;
(重複·肢體不自由硏究=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,
v.58,
2015,
pp.29-55)
-
35
-
스위치를 사용한 AAC 중재가 지체중복 장애학생의 의사소통 능력과 스위치 조절 능력 및 AAC 도구 사용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
-
김경양;
이화여자대학교;
(지체.중복.건강장애연구,
v.58,
2015,
pp.25-54)
-
36
-
Eye tracking 기법을 적용한 AAC 중재가지체중복 장애학생에게 미치는 효과
-
김경양;
부산장신대학교;
(지체.중복.건강장애연구,
v.59,
2016,
pp.181-211)
-
37
-
가족중심 보완대체의사소통(AAC) 중재가 부모와 중도장애아동의 언어적 상호작용 및 상호작용 행동에 미치는 영향
-
김경양;
박은혜;
이화여자대학교;
이화여자대학교;
(특수교육학연구,
v.47,
2013,
pp.83-111)
-
38
-
중도장애아동을 위한 가족중심 보완대체의사소통(AAC) 중재가 부모의 의사소통 전략 및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
-
김경양;
박은혜;
이화여자대학교;
이화여자대학교;
(자폐성장애연구,
v.13,
2013,
pp.119-148)
-
39
-
특수학교 교사들의 AAC 기기 인지와 활용지도 및 AAC 기기 확보와 활용에 관한 학교 및 교육청의 지원 실태에 관한 인식 연구: 부산지역 중심
-
구민관;
김경양;
University of Wisconsin - Eau Claire;
이화여자대학교;
(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,
v.53,
2014,
pp.115-136)
-
40
-
가족-중심 보완대체의사소통(AAC) 중재가 자폐범주성 장애아동의 의사소통 능력과 가족 인식에 미치는 영향
-
김경양;
박은혜;
이화여자대학교;
이화여자대학교;
(자폐성장애연구,
v.12,
2012,
pp.51-7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