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환경보호 목표로서의 “생태계 건강 (ecosystem health)”
-
김완구;
충북대학교;
(환경철학,
v.0,
2008,
pp.165-194)
-
32
-
Water Ethics: Foundational Readings for Students and Professionals
-
김완구;
충북대학교;
(생명연구,
v.23,
2012,
pp.195-204)
-
33
-
환경윤리에서 생명 논의의 윤리적 함축과 전망
-
김완구;
충북대학교;
(환경철학,
v.0,
2009,
pp.57-93)
-
34
-
환경보호의 목표와 정책적 실천에 대한 윤리 및 철학적 탐구
-
김완구;
서강대학교;
(생명연구,
v.28,
2013,
pp.63-115)
-
35
-
인간과 자연의 관계: 큰 자아실현과 다중심주의
-
김완구;
충북대학교;
(생명연구,
v.18,
2010,
pp.113-144)
-
36
-
자본주의 소비문화에서 비롯한 생태위기 억제와 극복을 위한 ‘자발적 소박함’의 덕
-
김완구;
서강대학교;
(환경철학,
v.0,
2017,
pp.115-153)
-
37
-
환경문제에 대한 철학적 및 윤리적 접근의필요성과 중요성
-
김완구;
호서대학교;
(환경철학,
v.0,
2021,
pp.7-41)
-
38
-
환경윤리에서 실천 문제에 대한 덕 윤리적 접근
-
김완구;
서강대학교;
(생명연구,
v.44,
2017,
pp.17-57)
-
39
-
생명과 생태를 생각하는 대안적 민주주의로서의 생태민주주의
-
김완구;
서강대학교;
(생명연구,
v.47,
2018,
pp.151-207)
-
40
-
환경에 대한 과학기술의 결과들과 해결책에 대한 철학적 반성의 필요성
-
김완구;
서강대학교;
(환경철학,
v.0,
2017,
pp.63-9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