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575건 중 1,000건 출력
, 4/100 페이지
-
31
-
Intersectionality of Cold War-Feminism - in Case of Kim Insook`s Woman-Labor Narratives
-
KIM, Boksoon;
;
(아시아여성연구 = The journal of Asian women,
v.58,
2019,
pp.35-73)
-
32
-
트러블을 일으키는 여성들 -김인숙의 『칼날과 사랑』을 중심으로
-
임진하;
서울대학교;
(구보학보,
v.0,
2021,
pp.393-430)
-
33
-
Double writing and oblique reading - Focusing on Kim Insook’s “Long Night, Short Morning” -
-
Kim, Eun-Ha;
;
(우리 文學 硏究 = 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,
v.77,
2023,
pp.137-166)
-
34
-
여성 인물의 질적 전회, 윤리적 주체로 거듭나기-이혜경 「그리고, 축제」, 김인숙 「바다와 나비」를 중심으로
-
주지영;
우석대학교;
(구보학보,
v.0,
2021,
pp.469-505)
-
35
-
포스트 80년대, 비범한 날들의 기억 - 신경숙과 김인숙 소설을 중심으로
-
이혜령;
성균관대학교;
(반교어문연구,
v.0,
2015,
pp.515-544)
-
36
-
주체의 상실과 소통을 통한 존재의 발견 ― 김인숙의 브라스밴드를 기다리며를 중심으로
-
서혜지;
건양대학교;
(현대문학이론연구,
v.0,
2012,
pp.261-280)
-
37
-
부인된 성적 자기결정과 기이한 평화 — 김인숙, 『긴 밤, 짧게 다가온 아침』을 중심으로
-
이한나;
동국대학교;
(여성문학연구,
v.0,
2022,
pp.52-81)
-
38
-
386세대 여성 후일담과 성/속의 통과제의 —공지영과 김인숙의 소설을 대상으로
-
김은하;
경희대학교;
(여성문학연구,
v.23,
2010,
pp.43-78)
-
39
-
386세대 여성 후일담과 성/속의 통과제의 —공지영과 김인숙의 소설을 대상으로
-
김은하;
;
(여성문학연구,
v.23,
2010,
pp.43-78)
-
40
-
사회복지와 정치
-
김인숙;
;
(상황과 복지,
v.2003,
2003,
pp.7-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