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道學書院으로의 정착 과정과 조선후기 竹林書院 강학의 특징
-
김자운;
공주대학교;
(민족문화논총,
v.0,
2022,
pp.53-88)
-
32
-
지속 가능한 교육과 활용을 위한서원의 교육환경 -세계유산 등재 전후 문화재청 정책과서원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-
-
김자운;
공주대학교;
(한국서원학보,
v.0,
2021,
pp.73-107)
-
33
-
1765년 虎溪書院 『大學』 강회 연구(1)
-
김자운;
이우진;
공주대학교;
공주교육대학교;
(민족문화논총,
v.0,
2021,
pp.327-367)
-
34.
- 누리과정의 유아인성교육과 일반 유아인성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조사
- 김한승
-
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59 p., 2017
-
35
-
Kim Ilta’s (1929-99) systemization of the current Jogye Order’s orthopraxy
-
문찬주;
University of Hawaii – Monoa;
(대각사상,
v.0,
2012,
pp.359-396)
-
36.
- 역주《송사집(松沙集)》 : 권2 소(疏), 권4 서(書), 권11·12 잡저(雜著)
- 조일형
-
전남대학교, 국내박사,
xiii, 353 p., 201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