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⟨高山九曲歌⟩에 나타난 理想鄕의 意味- 朱子의 ⟨武夷櫂歌⟩와의 비교를 중심으로
-
김풍기;
강원대학교;
(율곡학연구,
v.29,
2014,
pp.227-254)
-
32
-
동아시아 전통사회에서의 명승(名勝)의 구성과 탄생 : 설악산을 중심으로
-
김풍기;
강원대학교;
(동아시아고대학,
v.0,
2014,
pp.333-363)
-
33
-
언어의 위계화와 새로운 언어 권력의 탄생 - 조선 후기 시조(時調) 가집(歌集)의 서발(序跋)을 중심으로
-
김풍기;
강원대학교;
(용봉인문논총,
v.0,
2015,
pp.65-91)
-
34
-
조선전기 문학론의 위계와 『동인시화(東人詩話)』
-
김풍기;
강원대학교;
(한민족어문학(구 영남어문학),
v.0,
2016,
pp.235-270)
-
35
-
기획논문: 고전문학 작품의 정체성과 그 현대적 변용-⟨옥루몽⟩의 애니메이션 제작 과정에서의 문제점을 중심으로- / 논평:조혜란(이화여대)
-
김풍기;
강원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06,
pp.13-35)
-
36
-
필담의 문화사 ― 조선후기 동아시아 문화 교류의 한 방법
-
김풍기;
강원대학교;
(비평문학,
v.0,
2011,
pp.151-176)
-
37
-
전란의 상처와 치유로서의 글쓰기 -허균의 ⟨학산초담(鶴山樵談)⟩을 중심으로
-
김풍기;
강원대학교;
(문학교육학,
v.0,
2014,
pp.9-33)
-
38
-
潭樵 南永魯의 생애와 『玉樓夢』에 반영된 사유
-
김풍기;
강원대학교;
(한국인물사연구,
v.0,
2007,
pp.283-300)
-
39
-
지식의 재구성과 김시습의 법화경 읽기
-
김풍기;
강원대학교;
(동방한문학,
v.0,
2007,
pp.67-95)
-
40
-
北渚 金瑬의 한시 연구
-
김풍기;
강원대학교;
(한국인물사연구,
v.0,
2012,
pp.3-2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