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新羅 移住 高句麗人의 歷史 編纂
-
노용필;
한국사학연구소;
(韓國史學史學報,
v.0,
2012,
pp.5-27)
-
32
-
金洪燮의 자연 영성과 실천적 삶
-
노용필;
전북대학교;
(교회사연구,
v.0,
2007,
pp.191-220)
-
33
-
18ㆍ19세기 한국의 벼농사ㆍ쌀밥ㆍ술에 관한 서양인 천주교 선교사들의 견문기 분석
-
노용필;
전북대학교;
(교회사연구,
v.0,
2009,
pp.79-110)
-
34
-
개화기 과부의 재가와 천주교
-
노용필;
서강대학교;
(한국사상사학,
v.0,
2004,
pp.333-368)
-
35
-
森谷克己의 植民主義 社會經濟史學 批判
-
노용필;
한국사학연구소;
(韓國史學史學報,
v.0,
2010,
pp.217-253)
-
36
-
1920년대 한국 농촌의 肥料 실황과 일제의 肥料取締令 시행
-
노용필;
한국사학연구소;
(한국근현대사연구,
v.0,
2013,
pp.362-389)
-
37
-
高句麗의 孫盛 『晉春秋』 受容과 그 歷史的 意義
-
노용필;
한국사학연구소;
(韓國史學史學報,
v.0,
2013,
pp.7-64)
-
38
-
『天主實義』 註釋目錄本의 中國에서의 出版과 朝鮮에서의 諺解筆寫本의 流行
-
노용필;
한국사학연구소;
(韓國史學史學報,
v.0,
2014,
pp.179-208)
-
39
-
韓國에서의 歷史主義 受容: 李基白 韓國史學硏究의 礎石
-
노용필;
한국사학연구소;
(韓國史學史學報,
v.0,
2011,
pp.259-302)
-
40
-
李基白 『國史新論』・『韓國史新論』의 體裁와 著述 目標 (上)
-
노용필;
한경대학교;
(韓國史學史學報,
v.0,
2009,
pp.83-13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