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일본 지식인의 근대화론 비판과 민중의 발견 - 다케우치 요시미와 가지무라 히데키를 중심으로 -
-
홍종욱;
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;
(사학연구,
v.0,
2017,
pp.95-128)
-
32
-
노예론으로부터 ‘동아시아’담론의 새로운 시각으로 --루쉰과 다케우치 요시미의 노예론을 중심으로
-
원영혁;
서울대학교;
(중국문학,
v.57,
2008,
pp.293-307)
-
33
-
노예론으로부터 ‘동아시아’담론의 새로운 시각으로 --루쉰과 다케우치 요시미의 노예론을 중심으로
-
원영혁;
서울대학교;
(중국문학,
v.57,
2008,
pp.293-307)
-
34
-
인국의 사상가를 통해 할 수 있는 모든 것―다케우치 요시미와 루쉰, 동아시아 사상사의 한 궤적
-
윤여일;
서울대학교;
(역사비평,
v.0,
2018,
pp.324-360)
-
35
-
마루야마 마사오와 다케우치 요시미의 전후 사상 재건과 ‘근대’적 사유-전전의 문화권력 ‘근대의 초극’과의 비/연속성-
-
이경희;
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;
(동아시아문화연구,
v.0,
2018,
pp.57-82)
-
36
-
일본 우익사상의 부흥과 ‘좌우합작’
-
조관자;
서울대학교;
(일본연구,
v.0,
2014,
pp.297-326)
-
37
-
왕후이의 현대성 인식과 대안적 중국론의 과제
-
박민호;
상지대학교;
(중국문학연구,
v.0,
2023,
pp.75-92)
-
38
-
혁명의 투사 또는 염소의 목자 —샤오홍의 《생사의 장》연구
-
이수현;
서울대학교;
(중국문학,
v.94,
2018,
pp.101-121)
-
39
-
1960~1970년대 일본의 한국문학 연구와 ‘조선문학의 회(朝鮮文學の會)’-오무라 마스오(大村益夫) 교수에게 질문하다-
-
장문석;
서울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16,
pp.171-218)
-
40.
- 도래하지 않은 자유 : '방법'으로서의 '4.19 민주이념'
- 강한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105, 202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