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06건 중 406건 출력
, 4/41 페이지
-
31
-
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‘파리한국대표부’의 외교활동 -김규식의 활동을 중심으로-
-
이장규;
프랑스 파리디드로대학;
(한국독립운동사연구,
v.0,
2020,
pp.47-94)
-
32
-
대한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 간의 외교 : 2012년, 1992년 그리고 1972년으로의 회고와 평가
-
정재호;
서울대학교;
(중국근현대사연구,
v.0,
2012,
pp.23-43)
-
33
-
1974년 대한민국 정부의 대민단 인식 ‒외교사료관 소장 문서철 『재일본민단확대 간부회의 개최 계획』을 토대로‒
-
이재훈;
동의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;
(일본근대학연구,
v.0,
2024,
pp.167-182)
-
34.
- 해방 이전 이승만의 독립외교, 1919-1945: 그의 신문 스크랩을 중심으로
- 김정민
-
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vi, 270 p., 2022
-
35
-
북한의 국방위원장은 대한민국에서 외교면제를 향유하는가?- 분단국가 국가수반의 법적 지위에 관한 연구 -
-
羅仁均;
성균관대학교;
(국제법학회논총,
v.47,
2002,
pp.4-96)
-
36.
- 카터 행정부에서 변화된 도덕 외교와 광주민주화 운동에 대한 민국의 반응
- Taylor,RachelAislynn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86, 2022
-
37
-
로버트 올리버(Robert T. Oliver)와 대한민국 건국의 수사전략
-
WooSoo Park;
;
(수사학= Korean journal of rhetoric,
v.11,
2009,
pp.79-102)
-
38.
- 임영신의 UN 건국외교활동에 대한 재평가(1946.9~1948.8) : 이승만의 남한과도정부론과 관련하여
- 갼사그달, 남질마
-
부산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73 장, 2019
-
39.
- 박찬익의 독립운동과 대중국외교
- 김혜선
-
건국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44 p., 2010
-
40
-
군사외교를 통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대외적 자율성 확보 정책 : 아시아·태평양전쟁 시기 한국광복군의 자주권 회복 및 미국·영국군과 군사합작 활동을 중심으로
-
최정준;
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;
(한국과 국제사회,
v.6,
2022,
pp.5-3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