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세기(世紀)의 망각(忘却)을 넘어서―러일전쟁 100주년 기념행사를 중심으로
-
도진순;
창원대 교수;
(역사비평,
v.0,
2006,
pp.279-318)
-
32
-
육사의 「청포도」 재해석 - ‘청포도’와 ‘청포(靑袍)’, 그리고 윤세주
-
도진순;
창원대학교;
(역사비평,
v.0,
2016,
pp.441-475)
-
33
-
안중근 가문의 유방백세와 망각지대
-
도진순;
창원대학교;
(역사비평,
v.0,
2010,
pp.242-280)
-
34
-
남북 접경지대의 평화적 활용을 위하여: 서해, 한강, DMZ
-
도진순;
창원대학교;
(역사비평,
v.0,
2009,
pp.100-114)
-
35
-
육사의 「절정」- ‘강철로 된 무지개’와 ‘Terrible Beauty’
-
도진순;
창원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16,
pp.505-531)
-
36
-
안중근의 전쟁과 평화, 죽임과 죽음
-
도진순;
창원대학교;
(역사와 현실,
v.0,
2010,
pp.247-277)
-
37
-
육사의 절명시 「꽃」 - 동지를 부르는 초혼가
-
도진순;
창원대학교;
(한국시학연구,
v.0,
2016,
pp.37-57)
-
38
-
안중근과 일본의 평화지성, ‘화이부동’과 ‘사이비’-千葉十七·德富蘆花·石川啄木·夏目漱石
-
도진순;
창원대학교;
(한국근현대사연구,
v.0,
2018,
pp.123-153)
-
39
-
The Post-Liberation National Construction Theories of Kim Koo and Kim Kyu-sik and their Political Significance
-
도진순;
창원대학교;
(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,
v.6,
1993,
pp.105-123)
-
40
-
육사의 비명(碑銘), ⟨나의 뮤 - 즈⟩: ‘건달바’와 ‘영원한 과거’의 본래면목
-
도진순;
창원대학교;
(국어국문학,
v.0,
2016,
pp.115-14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