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<김현감호>형 서사의 비교문학적 접근
-
류준필;
인하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17,
pp.149-192)
-
32
-
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한문교과의 도입부 내용 설정과 ‘내용 체계’의 연계성 강화 방안
-
류준필;
인하대학교;
(동방한문학,
v.0,
2008,
pp.335-371)
-
33
-
『朝鮮詩歌史綱』의 학술사적 의의를 다시 묻다
-
류준필;
;
(국문학연구,
v.0,
2012,
pp.257-271)
-
34
-
農巖 金昌協의 論語學과 그 경학사적 위상 -「農巖雜識ㆍ內篇三」의 ‘論語說’을 중심으로-
-
류준필;
이영호;
인하대학교;
성균관대학교;
(漢文學報,
v.19,
2008,
pp.1177-1200)
-
35
-
韓國儒學資料의 匯集과 電算化 -‘한국경학자료시스템’과 ‘한국주자학용어검색시스템’을 중심으로-
-
김경호;
류준필;
이영호;
성균관대학교;
인하대학교;
성균관대학교;
(동방한문학,
v.0,
2009,
pp.301-322)
-
36
-
困惑과 悖論 : 첸리췬(錢理群)의 ‘중국 사회주의 인식’에 대하여
-
류준필;
인하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12,
pp.179-199)
-
37
-
책판 제작의 사회·문화적 의의 ―19세기~20세기 초 영남 지방의 문집 간행 사례를 중심으로
-
류준필;
성균관대학교;
(대동문화연구,
v.0,
2010,
pp.97-132)
-
38
-
근대 계몽기 신문 및 소설의 구어 재현 방식과 그 성격
-
류준필;
인하대학교;
(대동문화연구,
v.44,
2003,
pp.207-241)
-
39
-
식민지 아카데미즘의 '조선문학사' 인식과 그 지정학적 함의: 자국(문)학 형성의 맥락에서
-
류준필;
인하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14,
pp.93-124)
-
40
-
21세기 한국, 20세기와의 결별 가능성-10.26 선거 및 정치질서 변동을 보는 한 가지 시선
-
류준필;
인하대학교;
(역사비평,
v.0,
2011,
pp.136-16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