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박물관 전시 구성과 초등학생들의 문화 재현 -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삼국 문화 체험을 중심으로 -
-
류현종;
제주대학교;
(역사교육연구,
v.0,
2008,
pp.145-185)
-
32
-
역사적 장소 학습과 과거 기억의 문제 - 초등학생들의 역사적 장소 재현 분석을 중심으로 -
-
류현종;
서울 신미림초등학교;
(역사교육연구,
v.0,
2005,
pp.177-219)
-
33
-
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 속의 현대사 서사 분석
-
류현종;
서울 신미림초교 교사;
(역사교육연구,
v.0,
2006,
pp.197-230)
-
34
-
‘사건’과 ‘정서’로 역사 수업 읽기- ⟨따뜻한 기술: 문익점과 목화⟩ 수업 이야기 -
-
류현종;
제주대학교;
(사회과교육연구,
v.21,
2014,
pp.43-66)
-
35
-
초등 예비교사의 역사 수업 구성에 나타난 ‘역사적 의의’
-
류현종;
제주대학교;
(사회과교육연구,
v.22,
2015,
pp.63-90)
-
36
-
제주 지역 교과서에 나타난 동아시아 재현 양상
-
류현종;
제주대학교;
(동양문화연구,
v.12,
2012,
pp.205-245)
-
37
-
역사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이야기 한다는 것-김한종 『역사교육과정과 교과서 연구』가 들려주는 이야기-
-
류현종;
서울 신미림초교 교사;
(역사와 담론,
v.0,
2006,
pp.325-334)
-
38
-
‘낯설게 보기’로서 창의성 -⟨현명한 소비⟩ 수업의 성찰을 사례로-
-
류현종;
제주대학교;
(사회과수업연구,
v.3,
2015,
pp.1-30)
-
39
-
역사하기 시민권 행사하기 -역사교육방법 강좌 참여에 관한 자전적 연구-
-
류현종;
제주대학교;
(역사교육논집,
v.0,
2017,
pp.27-69)
-
40
-
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노동 이미지
-
류현종;
제주대학교;
(사회과교육연구,
v.26,
2019,
pp.21-4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