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.
- 韓國傳統家屋에서 나타나는 視知覺的 特性에 關한 硏究 : 忠南 地域의 古宅을 中心으로
- 김선영
-
韓瑞大學校 藝術大學院, 국내석사,
viii, 88p., 2004
-
32
-
전망과 은신처의 개념을 도입한 궁궐건축의 시각적 프라이버시 정량화에 관한 연구
-
황지현;
이현수;
연세대학교;
연세대학교;
(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,
v.25,
2016,
pp.3-10)
-
33.
- 무용극에서 나타나는 인물의 극적 표현에 관한 연구 : 정재만의 ‘놀당갑서’작품을 중심으로
- 육근하
-
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82, 2005
-
34.
- 한국적 특성이 반영된 랜드스케이프 건축에 관한 연구
- 조문희
-
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84 p., 2007
-
35.
- 環境心理學的 側面에서의 傳統住居 建築空間에 관한 硏究 : 朝鮮時代 上流住居 建築空間을 中心으로
- 안기환
-
水原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viii, 103 p., 1997
-
36
-
폭력에 대한 저항서사로서 호랑이 설화와 탈북청년의 반응 양상
-
박재인;
건국대학교;
(통일인문학,
v.97,
2024,
pp.363-396)
-
37
-
지속가능한 도시재생 모색을 위한 일상적 도시정원 가꾸기 유형 특성 연구 - 성남시 수진2동을 중심으로 -
-
박재민;
최정권;
박은영;
한경대학교 건설공학연구소;
가천대학교 조경학과;
중부대학교 환경조경학과;
(한국조경학회지 =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,
v.44,
2016,
pp.13-24)
-
38.
- '존재의 집'을 찾아가는 미술치료사의 자전적 탐구
- 문명희
-
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, 국내석사,
v, 136 p., 2020
-
39.
- 傳統住居空間의 視知覺現象에 관한 硏究
- 김영희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23p., 1989
-
40.
- 山門을 中心으로 한 傳統寺刹 進入空間의 特性 考察
- 이혁
-
전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84 p., 200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