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현존적 항소 - W. G. 제발트가 쓰는 이유 -
-
문광훈;
충북대학교;
(헤세연구,
v.0,
2015,
pp.265-287)
-
32
-
돈과 빚과 죄 - 발터 벤야민의 자본주의 분석
-
문광훈;
충북대학교;
(독일언어문학,
v.0,
2012,
pp.69-85)
-
33
-
무한한 정의 - 발터 벤야민과 자크 데리다의 법 이해 -
-
문광훈;
충북대학교;
(독일언어문학,
v.0,
2011,
pp.109-127)
-
34
-
국문학/독문학에서 ‘문학’으로 - 문학서술의 방향에 대하여
-
문광훈;
충북대학교;
(한국현대문학연구,
v.0,
2015,
pp.87-117)
-
35
-
폐허에서 폐허로 - W. G. 제발트의 자연사적 인간사 이해 -
-
문광훈;
충북대학교;
(헤세연구,
v.0,
2016,
pp.121-140)
-
36
-
‘그림언어’와 예술사의 의미
-
문광훈;
고려대학교;
(헤세연구,
v.0,
2007,
pp.321-342)
-
37
-
비극적 행동과 인간 조건 - 헤겔 『미학』에서의 파토스 분석(2)
-
문광훈;
충북대학교;
(헤세연구,
v.0,
2016,
pp.209-228)
-
38
-
비극적 주체의 윤리적 정당성 - 헤겔 『미학』에서의 파토스 분석(1) -
-
문광훈;
충북대학교;
(헤세연구,
v.0,
2017,
pp.193-212)
-
39
-
심미적 교육으로서의 무용교육의 실천 방안 탐구
-
김스완;
중앙대학교;
(예술교육연구,
v.23,
2025,
pp.183-20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