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과 그 영향사
-
장영란;
;
(동서사상,
v.11,
2011,
pp.29-50)
-
32
-
미셸 푸코의 ‘근대’와 ‘계몽’
-
허경;
;
(근대철학,
v.5,
2010,
pp.5-37)
-
33
-
미셸 푸코의 윤리적 문제설정에 관한 반-여성주의적 혐의와 그에 대한 논변
-
도승연;
;
(한국여성철학= Korean feminist philosophy,
v.8,
2007,
pp.55-90)
-
34.
- 르네 마그리트의 철학적 사유와 회화작업의 의미
- 허선욱
-
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, 국내석사,
69, 2016
-
35
-
설득의 수사학에서 저항의 수사학으로 - 외모지상주의를 중심으로 -
-
김종갑;
건국대학교;
(수사학,
v.0,
2015,
pp.25-65)
-
36
-
아룬다티 로이의 『지복의 성자』에 나타난 힌두 내셔널리즘과 묘지의 헤테로토피아
-
손석주;
동아대학교;
(영미어문학,
v.0,
2021,
pp.49-70)
-
37.
- 여성의 성(性)에 대한 이미지를 재고하는 미술- 본인의 <옭아 매인> 연작을 중심으로-
- 정다희
-
동덕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96, 2024
-
38
-
지금 다시 마르크스주의의 근본 질문을 재개해야 할 이유: 알튀세르와 발리바르의 프롤레타리아 독재론과 사회주의라는 질문
-
백승욱;
중앙대학교;
(마르크스주의 연구,
v.17,
2020,
pp.12-39)
-
39.
- 요한 바오로 2세의 몸의 신학에 근거한 현대 청년 성문화에 대한 비판적 고찰
- 안원철
-
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87 p., 2014
-
40
-
안전, 생명정치 그리고 법- 코로나 사태를 통해서 본 생명정치와 법 -
-
김봉수;
전남대학교;
(법학연구,
v.62,
2021,
pp.161-18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