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자산 안확에게 있어서의 민족 · 무도(武道) · 역사
-
박노자;
Universiteit i Oslo;
(열상고전연구,
v.0,
2008,
pp.41-72)
-
32
-
대한민국에서 다(多)문화 사회가 가능한가
-
박노자;
Universiteit i Oslo;
(국어문학,
v.47,
2009,
pp.5-14)
-
33
-
1900년대 초반 신채호 “민족” 개념의 계보와 동아시아적 맥락
-
박노자;
Universiteit i Oslo;
(순천향 인문과학논총,
v., 0,
2010,
pp.107-138)
-
34
-
의기(義妓) 논개 전승 - 전쟁, 도덕, 여성
-
박노자;
Universiteit i Oslo;
(열상고전연구,
v.0,
2007,
pp.229-254)
-
35
-
지눌의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에 미친 초기 선종서의 사상적 영향
-
박노자;
Tikhonov Vladimir한국불교연구원;
(보조사상,
v.0,
1998,
pp.137-190)
-
36
-
A Socialist Century? Socialism as the Main Counter-Hegemonic Ideology of Contemporary Korea
-
박노자;
노르웨이 오슬로대학;
(Korea Journal,
v.60,
2020,
pp.55-83)
-
37
-
Worldwide ‘Red Age’ and Colonial-era Korea: An Attempt at Meta-historical Analysis
-
박노자;
노르웨이 오슬로대학;
(마르크스주의 연구,
v.17,
2020,
pp.146-182)
-
38
-
A Russian Radical and East Asia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: Sudzilovsky, China, and Japan
-
박노자;
Universiteit i Oslo;
(Cross-Currents,
v.0,
2016,
pp.51-76)
-
39
-
의천의 한국불교사 의식
-
박노자;
Tikhonov Vladimir경희대 노어학과;
(보조사상,
v.0,
1998,
pp.103-133)
-
40
-
쾌남아(快男兒), 천재, 영웅 키우기 -1910~30년대 조선에서의 아동ㆍ청소년 훈육 담론의 전개-
-
박노자;
오슬로대학교;
(한국민족운동사연구,
v.0,
2008,
pp.51-10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