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百濟土器 形成期에 보이는 樂浪土器의 影響-深鉢形土器 및 長卵形土器 形成 過程을 中心으로-
-
박순발;
충남대학교;
(백제연구,
v.0,
2004,
pp.59-72)
-
32
-
극동아시아 농렵구 설정
-
박순발;
충남대학교;
(백제연구,
v.0,
2015,
pp.1-20)
-
33
-
熊津?泗?期 百濟土器 編年에 대하여-三足器와 直口短頸壺를 中心으로-
-
박순발;
충남대학교;
(백제연구,
v.37,
2003,
pp.57-79)
-
34
-
백제 도성 제의(祭儀)의 전개와 그 배경
-
박순발;
충남대학교;
(백제학보,
v.0,
2023,
pp.5-31)
-
35
-
백제 도성 묘역의 비교 고찰
-
박순발;
충남대학교;
(백제연구,
v.0,
2017,
pp.21-43)
-
36
-
백제 불사 입지 비교 연구
-
박순발;
충남대학교;
(백제연구,
v.0,
2019,
pp.81-113)
-
37
-
마한사의 전개와 익산
-
박순발;
충남대학교;
(마한백제문화,
v.28,
2016,
pp.41-57)
-
38
-
한반도 요고 전래고
-
박순발;
충남대학교;
(백제연구,
v.0,
2017,
pp.129-156)
-
39
-
호서고고학 20년, 역사고고학
-
박순발;
충남대학교;
(호서고고학,
v.0,
2019,
pp.36-53)
-
40
-
백제 사비기 원락 건물의 유형과 성격- 부여 청산지구 원락 유적의 성격 규명에 즉하여 -
-
박순발;
충남대학교;
(백제학보,
v.0,
2018,
pp.113-12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