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피에르 로티의 『아지야데Azyadé』에 나타난 19세기 이스탄불과 이국정서의 수용에 관한 연구
-
박아르마;
건양대학교;
(불어불문학연구,
v.0,
2015,
pp.177-201)
-
32
-
쥘 베른 소설에 나타난 무인도의 역설 - 쥘 베른의 『신비로운 섬』과 『2년 동안의 휴가』를 중심으로 -
-
박아르마;
건양대학교;
(불어불문학연구,
v.0,
2012,
pp.159-180)
-
33
-
프랑스 현대소설에 나타난 이국정서exotisme - 미셀 투르니에의 『황금 물방울』과 르 클레지오의 『사막』을 중심으로
-
박아르마;
건양대학교;
(불어불문학연구,
v.0,
2009,
pp.231-260)
-
34
-
불어권 캐나다 작가 정 욱과 정체성의 문제- 『김치 Kimchi』와 『방황하는 동양의 단편들 Nouvelles orientales et desorientees』을 중심으로
-
박아르마;
건양대학교;
(불어불문학연구,
v.0,
2007,
pp.431-457)
-
35
-
투르니에 작품에 나타난 사실적 글쓰기의 의미
-
박아르마;
건양대학교;
(불어불문학연구,
v.0,
2002,
pp.49-73)
-
36
-
투르니에 작품에 나타난 동일시의 욕망
-
박아르마;
건양대학교;
(불어불문학연구,
v.0,
2005,
pp.131-152)
-
37
-
쥘 베른의 『녹색광선Le Rayon vert』과‘경이의 여행’ 총서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
-
박아르마;
건양대학교;
(한국프랑스학논집,
v.97,
2017,
pp.49-74)
-
38
-
보건의료계열 글쓰기 특성화 방안과 교육과정 연구 -건양대학교 ⟨보건의료계열 글쓰기⟩ 교과를 중심으로-
-
박아르마;
건양대학교;
(사고와표현,
v.13,
2020,
pp.95-122)
-
39
-
타히티 모형을 통해 본 이국정서의 변모양상과 의미 - 디드로에서 세갈렌까지 -
-
박아르마;
건양대학교;
(프랑스어권 문화예술연구,
v.33,
2010,
pp.201-228)
-
40
-
로빈슨류(類) 소설 혹은 로빈슨 신화의 생성과 진화 - 다니엘 디포, 쥘 베른, 미셀 투르니에를 중심으로-
-
박아르마;
건양대학교;
(불어불문학연구,
v.0,
2004,
pp.115-13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