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554건 중 554건 출력
, 4/56 페이지
-
31
-
미세살수와 방상팬 처리가 개화기 배 과원의 서리피해 방지에 미치는 영향
-
최현석;
조영상;
김월수;
조정안;
안유정;
이연;
국립농업과학원;
전남대학교;
전남대학교;
전남대학교;
전남대학교;
국립농업과학원;
(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,
v.23,
2011,
pp.280-283)
-
32
-
당, 수령, 그리고 애국주의 - 이태준의 경우
-
배개화;
;
(한국현대문학연구 =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37,
2012,
pp.169-206)
-
33
-
『東光』을 통해 본 근대적 글쓰기의 형성
-
배개화;
;
(국어국문학,
v.150,
2008,
pp.313-345)
-
34
-
소비하는 도시와 모더니즘
-
배개화;
;
(한국현대문학연구 =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8,
2000,
pp.243-276)
-
35
-
문장지 시절의 박태원 - 신체제 대응양상을 중심으로
-
배개화;
;
(우리말글 =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44,
2008,
pp.251-282)
-
36
-
이병기를 통해 본 근대적 '문학어'의 창안
-
배개화;
;
(語文學 : 한국어문학회 =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89,
2005,
pp.288-318)
-
37
-
백화 양건식과 근대적 문체의 실험
-
배개화;
;
(한국현대문학연구 =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18,
2005,
pp.155-193)
-
38
-
문학의 희생 - 북한에서의 이태준
-
배개화;
;
(한국현대문학연구 =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34,
2011,
pp.247-282)
-
39
-
이태준의 전시 체제 대응 방식 : 천리에 방심하지 않기
-
배개화;
;
(한국현대문학연구 =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31,
2010,
pp.137-170)
-
40
-
<문장강화>에 나타난 문장(文章) 의식
-
배개화;
;
(한국현대문학연구 =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16,
2004,
pp.417-44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