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81건 중 481건 출력
, 4/49 페이지
-
31
-
휴면 정도 및 탄소 함량이 '후지' 사과나무 과대지의 내동성에 미치는 영향
-
권헌중;
박무용;
송양익;
사공동훈;
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연구소;
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연구소;
국립종자원 품종보호과;
대구대학교 원예학과;
(한국농림기상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,
v.18,
2016,
pp.151-161)
-
32
-
사과나무 부란병균(腐爛病菌) Valsa ceratosperma에서의 Auxotrophic Mutants의 검출(檢出)
-
홍연규;
엄재열;
경북대학교 농과대학 농생물학과;
경북대학교 농과대학 농생물학과;
(慶北大農學誌 = Agricultural research bulletin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,
v.5,
1987,
pp.119-126)
-
33
-
네오아소진의 국부처리에 의한 사과나무 부란병의 방제
-
Jae Youl Uhm;
Hyung Rak Sohn;
;
(한국식물병리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plant pathology,
v.11,
1995,
pp.9-16)
-
34
-
Effect of the Registered Control Agents for Fire Blight on Fire Blight Disease at Flowering Stage of Apple in Korea
-
Ham, Hyeonheui;
Lee, Mi-Hyun;
Roh, Eunjung;
Lee, Woohyung;
Choi, Hyo-Won;
Yang, Mi Suk;
Lee, Yong Hwan;
;
(농약과학회지 =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,
v.27,
2023,
pp.344-351)
-
35
-
집중호우에 의한 '후지'/M.26 사과나무의 침수 피해 분석
-
최성용;
허민순;
경상북도농업기술원;
경상북도농업기술원;
(원예과학기술지 =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& technology,
v.19,
2001,
pp.362-366)
-
36.
- 사과나무(Malus domestica)의 유묘 절편체로부터 캘러스의 배양 및 식물체의 재생
- 朴榮臨
-
檀國大學校, 국내석사,
vi, 44 p., 1992
-
37
-
Ca化合物이 사과나무 斑點落葉病의 發生抑制에 미치는 影響
-
尹在卓;
李準琸;
崔大雄;
孫三坤;
;
(한국식물병리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plant pathology,
v.5,
1989,
pp.306-311)
-
38
-
조피증 명확한 원인규명 아직없어 -사과나무 조피증상의 원인과 대책
-
김승철;
농약연구소 병해방제연구실;
(농약과식물보호 = The Bimonthly magazine for agrochemicals and plant protection,
v.3,
1982,
pp.73-78)
-
39
-
발생이 늘고있는 과수병해의 특징과 방제대책 - (1) 사과나무
-
이두형;
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;
(농약과식물보호 = The Bimonthly magazine for agrochemicals and plant protection,
v.13,
1992,
pp.48-55)
-
40
-
2020-2024년 국내에서 분리한 사과나무 가지검은마름병균의 유전형과 분포
-
함현희;
이용환;
박동석;
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;
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;
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과;
(Research in plant disease = 식물병연구,
v.30,
2024,
pp.468-47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