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961건 중 961건 출력
, 4/97 페이지
-
31.
- 安羅國 都城의 景觀 硏究
- 이지은
-
경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, 102 p., 2012
-
32.
- 新羅 土偶 硏究 : 現況과 變遷을 中心으로
- 손명순
-
慶州大學校, 국내석사,
163 p., 2017
-
33.
- 고려시대 청자 통형잔 연구
- 이재경
-
충북대학교, 국내석사,
xii, 132 p., 2023
-
34.
- 반구대 암각화를 활용한 역사적 탐구력 신장 교육 프로그램 개발
- 박종국
-
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, 국내석사,
, 2020
-
35
-
경주지역 신라토우 유형 검토
-
손명순;
신라문화유산연구원;
(신라문화,
v.46,
2015,
pp.69-94)
-
36.
- 무문토기시대로의 발전 과정에 대한 고찰 : 진주 남강 옥방 5지구를 중심으로
- 라경화
-
선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, 60p., 2006
-
37.
- 고성지역 장소시 연구
- 정영순
-
경남대학교, 국내석사,
iii, 86장, 2020
-
38.
- 한국 근 · 현대 '생활사' 교육 활성화 방안
- 허익성
-
中央大學校, 국내석사,
iii, 51장, 2007
-
39
-
춘천 중도 유적에서 출토된 원삼국시대 토기 탄착물에 대한 화학적 분석
-
강소영;
지상현;
김윤지;
장홍선;
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;
미래창조과학부;
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;
(재)한강문화재연구원;
(보존과학회지 =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,
v.29,
2013,
pp.437-444)
-
40
-
금관가야 중심지로서의 봉황동 유적 — 최신 조사 성과를 중심으로
-
민경선;
김다빈;
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;
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;
(한국고고학보,
v.0,
2018,
pp.106-14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