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사사카와평화재단 『도서연구 저널(島嶼研究ジャーナル)』(2012~2022)과 비판적 고찰
-
석주희;
동북아역사재단;
(영토해양연구,
v.0,
2022,
pp.291-301)
-
32
-
2024년 검정통과 일본 중학교 교과서의 독도 관련 서술 분석
-
석주희;
동북아역사재단;
(동국사학,
v.0,
2024,
pp.79-114)
-
33
-
일본이도(離島)센터 계간지 『시마(しま)』를 통해 본 낙도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
-
석주희;
동북아역사재단;
(영토해양연구,
v.0,
2024,
pp.235-243)
-
34
-
러일 북방영토분쟁에 대한 전후 일본의 정책지향과 전망- 주요 선언․성명․협정을 중심으로 -
-
최은봉;
석주희;
이화여자대학교;
이화여자대학교;
(사회과학연구논총,
v., 28,
2012,
pp.43-70)
-
35
-
일본의 해양기본법(2007) 성립의 배경과 동인 : 해양권익 확대와 쟁점 관리 네트워크
-
최은봉;
석주희;
이화여자대학교;
이화여자대학교;
(일본연구,
v.0,
2010,
pp.51-69)
-
36
-
1970년대 세이란카이(青嵐会)의 등장과 정치과정- 일본 국가주의의 복원인가?
-
최은봉;
석주희;
이화여자대학교;
이화여자대학교;
(담론201,
v.16,
2013,
pp.121-149)
-
37
-
중일 간 센카쿠열도 분쟁과 일본의 해양정책 - 갈등·대응·정치과정을 중심으로
-
최은봉;
석주희;
이화여자대학교;
이화여자대학교;
(담론201,
v.15,
2012,
pp.45-66)
-
38
-
일본의 정치리더십과 마쓰시타 정경숙(松下政經塾) - 교육철학 · 세력화 · 에토스
-
최은봉;
석주희;
이화여자대학교;
이화여자대학교;
(담론201,
v.17,
2014,
pp.155-181)
-
39
-
일본 무라야마 담화의 상징성과 내재화의 간극: 국내 사회 지지 단체-반대 단체의 세력화와 동학
-
석주희;
최은봉;
이화여자대학교;
이화여자대학교;
(일본연구논총,
v.0,
2015,
pp.31-58)
-
40
-
2022년 검정통과 일본 고등학교 교과서의 독도 관련 서술 분석
-
박한민;
석주희;
동북아역사재단;
동북아역사재단;
(韓國史學報,
v.0,
2023,
pp.7-3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