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,153건 중 1,000건 출력
, 4/100 페이지
-
31
-
고전 스토리텔러의 세계와 미래
-
정창권;
고려대학교;
(국어문학,
v.58,
2015,
pp.191-213)
-
32
-
포스트휴먼 담론과 고전서사 의미론 연구 - <김현감호> 서사의 대안 세계 유형과 의미
-
오세정;
충북대학교;
(기호학 연구,
v.78,
2024,
pp.129-159)
-
33
-
혜초 ‘왕오천축국전’의 세계 고전 기행문학사의 위상과 그 함의
-
박의서;
안양대학교;
(관광연구저널,
v.30,
2016,
pp.59-69)
-
34
-
가능세계론으로 본 고전 서사와 문화콘텐츠 서사의 세계 - K-컬처의 ‘한국적인 것’ 탐색을 위한 시론
-
오세정;
충북대학교;
(기호학 연구,
v.75,
2023,
pp.91-123)
-
35
-
한국 고전문학의 지역성과 세계성
-
박진태;
대구대학교;
(어문연구,
v.62,
2009,
pp.5-24)
-
36
-
제3세계 독자의 관점과 일원론 체계로 해석할 때 나타나는 『실락원』(Paradise Lost)의 고전으로서의 한계
-
홍성숙;
;
(밀턴연구 = Milton studies of Korea,
v.7,
1997,
pp.353-368)
-
37
-
소메야 도모유키 『모험‧음풍‧괴이 – 동아시아 고전 소설의 세계』(서평)
-
김시덕;
서울대학교;
(인문논총,
v.0,
2013,
pp.479-492)
-
38
-
포스트휴먼 담론과 고전서사 의미론 연구 - ⟨김현감호⟩ 서사의 대안 세계 유형과 의미
-
오세정;
충북대학교;
(기호학 연구,
v.78,
2024,
pp.129-159)
-
39
-
한국 고전서사문학의 번역과 세계문학으로서의 가능성 모색
-
정선희;
홍익대학교;
(韓國古典硏究,
v.0,
2013,
pp.157-182)
-
40
-
Exploring ways to improve science classic reading classes in college general education : Centered on the case of Dongguk University <“Nature and Technology” Great Books Seminar>
-
Kang, Yunjae;
;
(교양학연구 = The journal of general education,
v.27,
2024,
pp.69-9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