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사키야마 다미의 「수상요람」론‒‘섬’을 이야기하는 문학적 방법‒
-
소명선;
제주대학교;
(일본근대학연구,
v.0,
2019,
pp.103-124)
-
32
-
콜롬비아의 국가적 정체성과 (반)낭만주의 소설 - 『마리아』와 『콜레라시대의 사랑』을 중심으로 -
-
배지완;
고려대학교;
(스페인어문학,
v.0,
2003,
pp.527-544)
-
33
-
실화와 허구의 경계에서: 최근 스페인 내전 소설의 한 경향과 역사성찰의 한계
-
임호준;
한국예술종합학교;
(스페인어문학,
v.0,
2008,
pp.277-298)
-
34.
- 황석영의 베트남 전쟁 소설 연구
- 김명희
-
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2, 62 p., 2007
-
35
-
소설의 모델, 독자, 작가 ― 이희철(李熙喆)의 문학적 행보에 대한 고찰
-
권두연;
연세대학교;
(비평문학,
v.0,
2011,
pp.35-79)
-
36
-
갈레아노 작품에 나타난 역사적 현실과 창조적 형상화
-
유왕무;
;
(세계문학비교연구 = The comparative study of world literature,
v.17,
2006,
pp.375-397)
-
37
-
세르히오 피톨의 ⟨사랑의 행진⟩과 멕시코 혁명소설
-
전기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중남미연구,
v.28,
2010,
pp.69-88)
-
38.
- 「한국어 교육과정」구현 방안 : 탈북 중학생을 중심으로
- 변지영
-
전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v, 64 p., 2013
-
39.
- LA COMEDIA SENTIMENTAL DE DON GASPAR ZAVALA Y ZAMORA
- 고용희
-
UNIVERSIDAD COMPLUTENSE DE MADRID, 국외박사,
x,429p., 1994
-
40
-
『세상 El Mundo』: 현실과 가상의 이중적 글쓰기인 자전적 소설
-
권미선;
경희대학교;
(스페인어문학,
v.0,
2009,
pp.123-13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