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.
- 여고생의 바느질능력에 관한 조사연구 : 서울지역을 중심으로
- 유경순
-
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viii, 49p., 1981
-
32.
- Soft sculpture의 유기적인 형태표현 연구 :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
- 오지연
-
성신여자대학교, 국내석사,
iv, 29장, 2011
-
33
-
노작교육론 기반의 ‘공동체 역량’신장을 위한 침선 공예 프로그램 개발: 두루주머니형 파빌리온 제작 사례를 중심으로
-
박지숙;
김미정;
서울교육대학교;
지행초등학교;
(조형교육,
v.0,
2024,
pp.97-134)
-
34.
- 陶制人形 開發에 관한 硏究 : 호남지역 축제 캐릭터를 중심으로
- 김숙희
-
호남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, 국내석사,
61 p., 2008
-
35.
- 실과 의생활교육 수행평가 도구의 개발
- 임명희
-
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104 p., 2010
-
36.
- 다중지능 이론에 기초한 실과 바느질 단원 학습활동이 초등학생의 성취동기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
- 윤소정
-
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vi, 90 p., 2009
-
37
-
실과 의생활 영역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
-
박지혜;
이성숙;
;
(한국실과교육학회지 =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,
v.23,
2010,
pp.479-498)
-
38
-
손잡이를 고려한 ‘손바늘에 실 꿰기’ 교육에 관한 연구
-
정지윤;
김지현;
부산교육대학교;
부산교육대학교;
(실과교육연구,
v.25,
2019,
pp.1-20)
-
39
-
실과 및 기술.가정 교과에서 의생활 교육내용의 적정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
-
백성희;
한영숙;
이혜자;
한국교원대학교 가정교육과;
신성여자고등학교;
한국교원대학교 가정교육과;
(韓國 家政科敎育學會誌 =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,
v.18,
2006,
pp.97-117)
-
40.
- 조직패턴과 조각보의 조형성을 융합한 소용돌이 이미지
- 김지은
-
울산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, 54 p., 201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