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16건 중 116건 출력
, 4/12 페이지
-
31
-
송순의 면앙정 구축과 ⟨면앙정가⟩ 창작 시기
-
이상원;
조선대학교;
(한국시가문화연구,
v.0,
2015,
pp.249-282)
-
32
-
송흠 귀향의 반향과 송순 문학의 기반
-
최재남;
경남대학교;
(한국문학논총,
v.0,
2006,
pp.5-35)
-
33
-
송순의 ⟨면앙정가⟩에 나타난 장소성과 그 의미
-
고성혜;
전남대학교;
(한민족어문학(구 영남어문학),
v.0,
2015,
pp.299-326)
-
34
-
송순 ⟨문린가곡(聞隣家哭)⟩의 구조와 성격
-
백숙아;
순천대학교;
(동아인문학,
v.0,
2017,
pp.31-48)
-
35
-
면앙정(면仰亭) 송순(宋純) 자필분재(自筆分財)(分衿)기(記)의 국어문학적(國語文學的) 의의(意義)
-
김일근;
;
(국어국문학,
v.121,
1998,
pp.97-111)
-
36
-
이주여성 출신 지역 생활문화와 아동놀이에 관한 연구 : 중국 길림성 집안시를 중심으로
-
송순;
원광대학교 생활과학부(생활자원개발연구소);
(한국가정관리학회지 =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,
v.28,
2010,
pp.131-143)
-
37
-
아동의 또래지위지각 관련변인 연구
-
송순;
원광대학교 가정복지정보학과;
(한국가정관리학회지 =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,
v.20,
2002,
pp.147-159)
-
38
-
과시와 치유의 노래, 「면앙정가」 : 송순의 정치 역정을 통해 본 「면앙정가」의 세계
-
김신중;
전남대학교;
(감성연구,
v.0,
2021,
pp.119-144)
-
39
-
송순(宋純)이 경험한 특별한 의례, 회방연(回榜宴)
-
박종오;
전남대학교;
(한국시가문화연구,
v.0,
2020,
pp.121-146)
-
40
-
송순 시가의 장소성에 대한 일고찰 -자연시를 중심으로-
-
김은희;
덕성여자대학교;
(한민족어문학(구 영남어문학),
v.0,
2013,
pp.179-21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