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58건 중 158건 출력
, 4/16 페이지
-
31
-
고정희 시의 기독교적 인간주의
-
김옥성;
단국대학교/Dankook uni.;
(한국근대문학연구,
v.19,
2018,
pp.183-210)
-
32
-
「삼봉집」의 간행과 편성
-
오용섭;
;
(書誌學硏究= Journal of the institute of bibliography,
v.48,
2011,
pp.229-253)
-
33
-
시와 음악 사이 ― 근대동요의 경계적 성격
-
오문석;
조선대학교;
(비평문학,
v.0,
2023,
pp.201-225)
-
34.
- (A) study on the literature of Im Ch'un(林椿)
- 윤용식
-
檀國大學校 大學院, 국내박사,
iv, 188p., 1993
-
35
-
1950년대 ‘후반기’동인과 『신시학』의 연관성 연구
-
우남희;
부경대학교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,
v.23,
2019,
pp.103-127)
-
36
-
일제 강점기 시의 교육 쟁점과 방법
-
남민우;
;
(한국시학연구 = Korean poetics studies,
v.2005,
2005,
pp.91-127)
-
37
-
周紫芝, {竹坡詩話}에 관한 試論
-
김규선;
선문대학교;
(동양고전연구,
v.,
2015,
pp.213-231)
-
38
-
명대정덕(明代正德), 가정(嘉靖)연간 종당시학(宗唐詩學)관념의 전승, 변화와 그 지향
-
정이화;
복단대학;
(漢文學報,
v.30,
2014,
pp.25-112)
-
39
-
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불가의 인물들
-
이승하;
;
(첨단문화기술연구 = Journal of culture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,
v.4,
2008,
pp.33-42)
-
40
-
≪中朝學士書翰錄≫의 脫草 原文 및 校釋
-
강찬수;
김희경;
차영익;
원광대학교;
서울대학교;
을지대학교;
(열린정신 인문학 연구,
v.17,
2016,
pp.5-4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