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9,334건 중 1,000건 출력
, 4/100 페이지
-
31
-
남파(南坡) 시조(時調)의 내용고(內容考)
-
이태극;
;
(국어국문학,
v.49,
1970,
pp.243-260)
-
32
-
고시조와 현대시조, 그 이어짐과 벌어짐의 사이
-
이완형;
;
(時調學論叢 = The Korean essays on Sijo literary science,
v.28,
2008,
pp.111-131)
-
33
-
시조(時調)의 율격구조연구(律格構造硏究)
-
김동준;
;
(국어국문학,
v.79,
1979,
pp.119-157)
-
34
-
시조의 구술성으로 인한 정서 표출 방식과 시조 교육의 방향
-
정소연;
이화여자대학교;
(고전문학과 교육,
v.24,
2012,
pp.97-124)
-
35
-
시조 스토리텔링의 교육적 가능성 - 애정 시조를 중심으로
-
류수열;
;
(時調學論叢 = The Korean essays on Sijo literary science,
v.28,
2008,
pp.9-28)
-
36
-
미주 시조 선집에 나타난 디아스포라 시조론
-
박미영;
백석대학교;
(時調學論叢 = The Korean essays on Sijo literary science,
v.30,
2009,
pp.53-90)
-
37
-
시조(時調) 한역(漢譯) 총람(總覽)
-
박노춘;
;
(국어국문학,
v.62,
1973,
pp.375-428)
-
38
-
시조 텍스트를 이용한 효율적인 글쓰기 교육전략
-
김상진;
;
(우리 文學 硏究 = 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,
v.32,
2011,
pp.3-32)
-
39
-
시조(時調)의 형성시기를 살핌
-
최강현;
;
(國語文學,
v.25,
1985,
pp.245-263)
-
40
-
이영도 시조 연구
-
유지화;
서울교대;
(時調學論叢 = The Korean essays on Sijo literary science,
v.42,
2015,
pp.213-23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