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651건 중 651건 출력
, 4/66 페이지
-
31
-
신채호와 함석헌 - 역사 인식의 관련성 시고
-
이만열;
숙명여자대학교;
(韓國史學史學報,
v.0,
2021,
pp.173-196)
-
32
-
신채호의 문학에 적용된 이중 언어의식 연구
-
김희주;
고려대학교;
(어문논집,
v.0,
2018,
pp.179-201)
-
33
-
장지연의 ‘변절’과 신채호의 ‘순국’ - 유교적 세계관의 지속과 단절
-
박선영;
;
(한국언론학보 =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& communication studies,
v.53,
2009,
pp.254-276, 429)
-
34
-
신채호의 파괴적 건설에 관한 연구
-
박정심;
부산대학교;
(한국철학논집,
v.0,
2022,
pp.189-218)
-
35.
- 신채호의 유교관에 대한 연구
- 강민석
-
안동대학교, 국내석사,
47 p., 2008
-
36
-
근대 일본ㆍ중국의 ‘武士道’론과 신채호의 ‘花郞’론
-
박찬승;
;
(충청문화연구,
v.5,
2010,
pp.71-102)
-
37
-
역사적 진실과 서사적 진실-신채호, 김동인, 안수길의 <을지문덕>-
-
최경호;
;
(語文學 : 한국어문학회 =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61,
1997,
pp.291-314)
-
38.
- 신채호의 「이태리건국삼걸전」연구
- 왕수파
-
대구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, 81 p., 2008
-
39.
- 신채호의 역사관과 교육관에 나타난 민족주의
- 정진주
-
창원대학교, 국내석사,
37p.(단면), 2010
-
40
-
신채호(申采浩)의 「을지문덕(乙支文德)」연구(硏究)
-
김치홍;
;
(국어국문학,
v.86,
1981,
pp.88-11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