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한일 근대 산문시 출현과 『現代詩歌』 - 폴 포르 수용을 중심으로 -
-
양동국;
상명대학교;
(일본언어문화,
v.0,
2007,
pp.225-244)
-
32
-
三木露風와 주요한
-
양동국;
상명대학교;
(日本學硏究,
v.22,
2007,
pp.319-339)
-
33
-
제국 일본 속의 ⟨조선 시 붐⟩ ― 유학생 시인과 김소운의 『조선시집』을 중심으로 ―
-
양동국;
상명대학교;
(아시아문화연구,
v.23,
2011,
pp.107-134)
-
34
-
탈경계의 시인 이바라기 노리코와 한국
-
양동국;
상명대학교;
(일본연구,
v.0,
2013,
pp.203-223)
-
35
-
요코미쓰 리이치의 「머리 및 배」와 군중
-
양동국;
상명대학교;
(일본언어문화,
v.0,
2012,
pp.429-448)
-
36
-
短い友情- 尹潽善(18971990)と河合榮治郞(18911944) -
-
양동국;
상명대학교;
(日本學硏究,
v.20,
2007,
pp.203-222)
-
37
-
이바라기 노리코와 번역 -『한국현대시선』을 중심으로-
-
양동국;
상명대학교;
(비교일본학,
v.30,
2014,
pp.125-146)
-
38
-
하기와라 사쿠타로(萩原朔太郎)와 한국
-
양동국;
상명대학교;
(일본연구,
v.0,
2009,
pp.219-240)
-
39
-
「曙光詩社」와 한일 근대시의 이미지즘 수용
-
양동국;
상명대학교;
(日本文化學報,
v.0,
2007,
pp.485-504)
-
40
-
서정과 반골, 탈경계의 시인 이바라기 노리코
-
양동국;
상명대학교;
(일본연구,
v.0,
2013,
pp.163-18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