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2,009건 중 1,000건 출력
, 4/100 페이지
-
31
-
로베르 르빠주의 연극 세계 - 무대적 메타언어
-
이선형;
;
(드라마연구 = The Journal of drama,
v.25,
2006,
pp.151-170)
-
32
-
연극기호학이 한국연극에 끼친 영향
-
이선형;
김천대학교;
(한국연극학,
v.1,
2015,
pp.123-148)
-
33
-
한국 이반 연극과 지구지역성 - 연극〈무화과꽃〉을 중심으로
-
G. 실비안;
;
(한국현대문학연구 =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27,
2009,
pp.509-534)
-
34
-
하이브리드 개념을 통한 '관객 참여형 연극'의 확장된 혼종성 연구 - 연극《내게 빛나는 모든 것》을 중심으로 -
-
전순열;
한양대학교 연극영화학과;
(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= Journal fo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,
v.15,
2021,
pp.113-125)
-
35.
- 일한연극의 비교문화사적연구
- 李應壽
-
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, 국내박사,
334, 2022
-
36
-
의례, 가면, 연극
-
김세근;
;
(드라마논총,
v.8,
1997,
pp.29-44)
-
37
-
동래야류의 무대적 수용에 의한 연극 콘텐츠 창출
-
이기호;
경성대학교 연극영화학부;
(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=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,
v.11,
2011,
pp.165-175)
-
38.
- 李白 樂府詩의 演劇性
- 이명순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, 93p., 2004
-
39
-
연극 발전과 문화정책
-
정진수;
;
(文化政策論叢,
v.10,
1998,
pp.33-48)
-
40
-
An Alternative to Traditional Theatre Creation -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university theatre production practice and the making of the Rhyzomatic theatre
-
Kim, Lee-kyung;
;
(연극교육연구,
v.33,
2018,
pp.103-14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