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초등교육의 내용으로서의 옛이야기에 대한 탐색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국어교육,
v.0,
2016,
pp.1-30)
-
32
-
언어 사용 영역과 문학 영역의 소통과 통합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국어교육,
v.0,
2015,
pp.53-73)
-
33
-
고전시가 향유 및 학습 방법으로서의 번역–시조를 예로-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고전문학과 교육,
v.0,
2020,
pp.5-33)
-
34
-
문학치료의 방법으로써의 독후감 쓰기에 대한 연구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독서연구,
v.0,
2005,
pp.315-334)
-
35
-
‘권장’의 형식을 통한 고전문학의 현재적 발견에 대한 성찰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독서연구,
v.0,
2011,
pp.303-333)
-
36
-
읽기 기초학력 평가를 위한 선결 과제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국어교육학연구,
v.0,
2005,
pp.213-242)
-
37
-
국어과 교육과정과 초등 문학교육에서의 ‘맥락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한국초등국어교육,
v.0,
2011,
pp.149-172)
-
38
-
자기 위안을 위한 이야기로 본 ⟨만언사⟩의 특징과 의미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문학치료연구,
v.19,
2011,
pp.9-40)
-
39
-
향가의 실재와 믿음 형성에 대한 고찰 -⟨도솔가⟩와 ⟨제망매가⟩, ⟨혜성가⟩를 중심으로-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문학교육학,
v.0,
2013,
pp.291-331)
-
40
-
학교 바깥 고전시가의 변용과 향유에 대한 교육적 성찰 - ⟨가시리⟩를 예로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문학치료연구,
v.23,
2012,
pp.77-10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