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중국 국·공 내전기 목단강시 조선인 사회와 한반도와의 관계(1945.8∼1948.2) - 특히 북한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-
-
염인호;
;
(한국학논총,
v.32,
2009,
pp.421-461)
-
32
-
중일전쟁기 한국광복군 창설에 관한 일 연구
-
염인호;
서울시립대학교;
(한국독립운동사연구,
v.0,
2021,
pp.5-48)
-
33
-
근현대 중국 동북지방 조선인의 민족정체성과 교육- 1947년 하반기, 조선인 교육의 변화 -
-
염인호;
;
(한국학논총,
v.37,
2012,
pp.601-625)
-
34
-
중국에서의 재만 조선인 항일투쟁사 서술 - 국공내전·한국전쟁기에 진행된 선전 및 서술을 중심으로 -
-
염인호;
;
(한국학논총,
v.45,
2016,
pp.57-90)
-
35
-
중국 연변 문화대혁명과 주덕해의 실각 - 북한 특무 혐의를 중심으로 -
-
염인호;
서울시립대학교;
(한국독립운동사연구,
v.0,
2005,
pp.395-437)
-
36
-
조선족 해원 일기를 통해서 본 북한의 항일빨치산 투쟁사 활용과 문혁기의 ‘석동수 특무 조직사건’
-
염인호;
서울시립대학교;
(한국학논총,
v.47,
2017,
pp.363-402)
-
37
-
金昌淑의 在中國 獨立運動에 관한 一考察
-
염인호;
;
(대동문화연구,
v.43,
2003,
pp.223-252)
-
38
-
서평 : 국공내전·한국전쟁이 만든 만주조선인사회의 정체성 - 염인호,『또 하나의 한국전쟁 : 만주 조선인의 ‘조국’과 전쟁』(역사비평사, 2010) -
-
정병준;
이화여자대학교;
(역사와 현실,
v.0,
2011,
pp.369-379)
-
39
-
해방 후 중국 동북지역 조선인 사회와 한국전쟁 『또 하나의 한국전쟁: 만주 조선인의 ‘조국’과 전쟁』(염인호, 역사비평사, 2010)
-
임찬혁;
서울대학교;
(한국근현대사연구,
v.0,
2011,
pp.224-243)
-
40
-
재만조선인 항일투쟁사 서술과 ‘중국 조선족’의 탄생
-
염인호;
서울시립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12,
pp.137-18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