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An Analysis on Effectiveness Studies of EAP & Workplace Counseling
-
왕은자,;
Kim Kay-Hyon,;
;
(상담학연구 = Korean Journal of Counseling,
v.8,
2007,
pp.1411-1433)
-
32
-
Concept mapping for supervision content that workplace counselors need
-
Kim, Young-Jin,;
왕은자,;
;
(상담학연구 = Korean Journal of Counseling,
v.18,
2017,
pp.403-421)
-
33
-
원대(元代)의 왕역(王繹)·예찬(倪瓚) 합작 <양죽서소상(楊竹西小像)> 연구
-
장준구;
이천시립월전미술관 학예연구실;
(文化財 =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,
v.47,
2014,
pp.114-131)
-
34
-
1284년 忠烈王, 元成公主 발원 金字大藏 『百千印陁羅尼經(合部)』의 서지적 연구
-
남권희;
석혜영;
경북대학교;
경북대학교;
(서지학연구,
v.0,
2018,
pp.261-310)
-
35
-
Toward Usability of Reliable and Clinically Signigicant Change (RCSC) and Clinical Outcomes in Routine Evaluation-Outcome Measure (CORE-OM)
-
왕은자,;
박경희,;
Kim Kay-Hyon,;
김선경,;
;
(상담학연구 = Korean Journal of Counseling,
v.15,
2014,
pp.1085-1100)
-
36
-
시조에 나타난 신화 소재의 수용 양상과 의미 - 중국 신화를 중심으로
-
변승구;
;
(韓國文學硏究= Studies in Korean litererature,
v.41,
2011,
pp.5-42)
-
37.
- 상담자의 자기고양적 편향 수준에 따른 수퍼비전 피드백 수용 정도
- 손보영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i, 56 p., 2005
-
38.
- 전통 상록수의 식재 유형별 경관 해석
- 이은수
-
서울시립대학교, 국내석사,
viii, 229 p., 2019
-
39
-
정지용과 왕유(王維)의 은일 의식 비교 - 산’ 이미지의 차이를 중심으로
-
고옥호;
한양대학교;
(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,
v.33,
2025,
pp.15-44)
-
40
-
원대(元代)의 왕역(王繹)·예찬(倪瓚) 합작 ⟨양죽서소상(楊竹西小像)⟩ 연구
-
장준구;
이천시립월전미술관;
(헤리티지:역사와 과학,
v.47,
2014,
pp.114-13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