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디아스포라 작가의 한숨과 향수—할레드 호세이니의 『그리고 산이 울렸다』를 중심으로
-
왕은철;
전북대학교;
(현대영미소설,
v.20,
2013,
pp.211-232)
-
32
-
「마을에서」에 나타난 엘리자베스 비숍의 애도작업
-
왕은철;
전북대학교;
(현대영미소설,
v.19,
2012,
pp.79-104)
-
33
-
「최고의 사파리」를 중심으로 본 타자 재현의 문제 - 나딘 고디머에 대한 애도를 겸하여
-
왕은철;
전북대학교;
(현대영미소설,
v.21,
2014,
pp.81-107)
-
34
-
주요소설가로서의 사무엘 베켓--『와트』에 관한 하나의 시론
-
왕은철;
전북대학교;
(영어영문학,
v.51,
2005,
pp.355-378)
-
35
-
슬픔과 애도의 시학 –나타샤 트레서웨이의 시에 나타난 어머니
-
왕은철;
전북대학교;
(영어영문학연구,
v.37,
2011,
pp.69-89)
-
36
-
드포우의 프라이데이와 쿳시의 프라이데이 - 『로빈슨 크로소』에 대한 대응담론으로서의『포우』
-
왕은철;
전북대학교;
(영어영문학,
v.48,
2002,
pp.53-78)
-
37
-
J.M. 쿳시의 소설에 나타난 식민주의 및 제국주의-『야만인을 기다리며』의 상호텍스트성에 관하여
-
왕은철;
전북대학교;
(영어영문학,
v.50,
2004,
pp.291-317)
-
38
-
J.M.쿳시의 소설과 미국의 식민주의/제국주의--『어둠의 땅』의 「베트남 프로젝트」를 중심으로
-
왕은철;
전북대학교;
(영어영문학,
v.54,
2008,
pp.107-127)
-
39
-
남아프리카 작가의 “저당잡힌” 상상력의 윤리적 책무 -도스또옙스키의 『악령』을 다시 쓴 J.M. 쿳시의 『페테르부르크의 대가』에 관하여
-
왕은철;
전북대학교;
(영어영문학,
v.49,
2003,
pp.21-43)
-
40
-
팔레스타인 내러티브에 나타난 고난의 역사 —『예닌의 아침』과 「하이파로 돌아가다」의 상호텍스트성에 관하여
-
왕은철;
전북대학교;
(영어영문학연구,
v.40,
2014,
pp.51-7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