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066건 중 1,000건 출력
, 4/100 페이지
-
31.
- 백제 멸망 후 遺民의 在唐 행적에 대해
- 김태호
-
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ⅱ, 46 p., 2024
-
32
-
百濟 遺民들의 唐 移住와 活動
-
金榮官;
;
(韓國史硏究= The journal of Korean history,
v.2012,
2012,
pp.231-268)
-
33
-
위만조선 시기 조선 유민의 남하
-
전진국;
충북대학교;
(고조선단군학,
v.45,
2021,
pp.171-210)
-
34
-
당과 백제 유민의 웅진도독부 인식의 변화
-
김수미;
;
(韓國民族文化,
v.2012,
2012,
pp.37-64)
-
35
-
王士禎의 작품 속에 표현된 遺民意識 양상 고찰
-
이동훈;
충남대학교;
(중국학논총,
v.0,
2021,
pp.139-167)
-
36.
- 高句麗 遺民에 대한 唐의 정책과 唐人化 과정
- 김재진
-
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68 p., 2022
-
37
-
발해 유민사 연구의 새지평을 열다 -(이효형, 『발해 유민사 연구』, 혜안, 2007)
-
이동휘;
;
(지역과 역사 = The Journal of Korean history,
v.2008,
2008,
pp.209-218)
-
38
-
中國 所在 高句麗 遺民의 동향
-
김현숙;
;
(韓國古代史硏究 = The Journal of Korean Ancient History,
v.23,
2001,
pp.63-105)
-
39
-
조선중기 제주유민 실태와 사회적 지위 변화
-
장혜련;
;
(역사와경계 = History & the Boundaries,
v.69,
2008,
pp.167-205)
-
40
-
발해유민 디아스포라의 고고학적 증거들
-
권오영;
서울대학교;
(인문논총,
v.80,
2023,
pp.5-3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