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⟨匪懈堂四十八詠⟩의 성립배경과 체제
-
유영봉;
전주대학교;
(漢文學報,
v.15,
2006,
pp.159-191)
-
32
-
西山大師가 朝鮮 中期의 佛敎界에 불러일으킨 ‘崔致遠 바람’
-
유영봉;
전주대학교;
(漢文學報,
v.12,
2005,
pp.69-94)
-
33
-
몇 개의 頻出 詩語로 본 崔致遠의 詩
-
유영봉;
성균관대학교;
(漢文學報,
v.7,
2002,
pp.3-36)
-
34
-
高麗前期의 ‘處士牓’을 통해 본 隱逸의 추구 경향
-
유영봉;
전주대학교;
(漢文學報,
v.19,
2008,
pp.5-34)
-
35
-
?畢齋 ?東都樂府?의 성격과 계승 양상
-
유영봉;
전주대학교;
(동방한문학,
v.0,
2005,
pp.77-106)
-
36
-
한국농업의 노동투입량 추계와 노동생산성 계측 : 스톡, 플로우 및 산업간 비교분석
-
유영봉;
제주대학교;
(농업경제연구,
v.57,
2016,
pp.83-107)
-
37
-
한시 학습 단계 설정을 위한 문제의 제기
-
유영봉;
전주대학교;
(漢文敎育論集,
v.24,
2005,
pp.71-92)
-
38
-
艮齋 田愚가 남긴 哲理詩 硏究 - 그의 역사적인 位相과 관련하여
-
유영봉;
전주대학교;
(漢文學報,
v.37,
2017,
pp.301-326)
-
39
-
文谷 金壽恒의 詩文에 깃든 家族史[Ⅰ]
-
유영봉;
전주대학교;
(漢文學報,
v.29,
2013,
pp.111-135)
-
40
-
한국 농업 생산의 지역별 효율성 분석 : 1955~2013
-
유영봉;
제주대학교;
(농업경영.정책연구,
v.42,
2015,
pp.487-50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