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600건 중 600건 출력
, 4/60 페이지
-
31
-
The Criteria of Personality through Confucianism
-
Shim, Hyung-Jin;
;
(韓國思想과 文化 = Korean thoughts and culture,
v.91,
2018,
pp.219-241)
-
32
-
고봉 유학사상의 현대적 의의
-
노평규;
전북대학교;
(동양철학연구,
v.0,
2004,
pp.93-123)
-
33
-
호남 유학사상의 특질
-
오종일;
전주대학교;
(동양철학연구,
v.0,
2004,
pp.7-37)
-
34
-
19세기 조선 유학사 정리 작업에 대한 연구 - 宋秉璿의 성찰적 조선유학사 정리 작업을 중심으로 -
-
정성희;
성균관대학교;
(유학연구,
v.28,
2013,
pp.137-164)
-
35
-
명재 윤증의 유학사적 위상
-
이동희;
계명대학교;
(유학연구,
v.20,
2009,
pp.1-25)
-
36
-
동아시아 집단주의의 유학사상적 배경
-
조긍호;
서강대학교;
(사회과학연구,
v.12,
2004,
pp.6-42)
-
37
-
"時中之道"와 유학사상의 보완
-
양재혁;
성균관대학교;
(동양철학연구,
v.0,
2004,
pp.415-436)
-
38
-
조선사상사ㆍ조선유학사 연구의 선구자, 기당 현상윤
-
최영성;
;
(오늘의 동양사상,
v.20,
2009,
pp.181-194)
-
39
-
<書經> 「虞書」의 내용체계와 유학사상적 의미
-
고대혁;
경인교육대학교;
(동양고전연구,
v.0,
2014,
pp.137-168)
-
40
-
식민지 시기 조선 유학사 정리 작업에 대한 연구 - 장지연(張志淵)과 하겸진(河謙鎭)의 저항적 조선유학사 정리 작업을 중심으로 -
-
정성희;
성균관대학교;
(유학연구,
v.29,
2013,
pp.165-19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