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579건 중 579건 출력
, 4/58 페이지
-
31
-
세종 합강리 유적 출토 고대 유리구슬의 특성 연구
-
김은아;
김규호;
강지원;
윤천수;
공주대학교;
공주대학교;
삼한문화재연구원;
삼한문화재연구원;
(보존과학회지,
v.36,
2020,
pp.405-420)
-
32
-
⟨정석가⟩의 소재와 구조 고찰
-
신재홍;
가천대학교 한국어문학과;
(고전문학과 교육,
v.0,
2024,
pp.163-192)
-
33
-
역사·고고학 연구를 위한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의 활용 가능성 고대 영산강유역과 가야 권역 출토 구슬 자료를 중심으로
-
박준영;
서울대학교 국사학과;
(인문논총,
v.79,
2022,
pp.85-115)
-
34
-
공주 수촌리 고분군 출토 고대 유리구슬의 화학조성과 제작기술 해석
-
이정은;
이찬희;
국립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;
국립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;
(보존과학회지 =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,
v.40,
2024,
pp.244-258)
-
35
-
서울 석촌동 고분군 출토 유리구슬의 특성 분석
-
김은아;
김규호;
공주대학교;
공주대학교;
(백제문화,
v.0,
2021,
pp.5-22)
-
36
-
한국 서남해안 신안군 가거도 인근 무인도서의 하계 조간대 해조상 및 수직분포
-
류바다;
김영식;
군산대학교;
군산대학교;
(수생생물,
v.1,
2021,
pp.15-23)
-
37.
- 한국 노안 연령층에 적합한 안경테 설계를 위한 계측적 연구
- 채경석
-
을지대학교, 국내석사,
viii, 51장, 2012
-
38
-
베트남 옥 에오(Oc Eo) 유적 출토 유리구슬의 재질 및 특성 연구
-
김규호;
윤지현;
권오영;
박준영;
Nguyen Thi Ha;
공주대학교;
공주대학교;
서울대학교;
한신대학교;
베트남국립대학교;
(문화재,
v.49,
2016,
pp.158-171)
-
39
-
금관가야 유리구슬의 특성 분석 (Ⅱ) -김해 대성동 3, 4차 출토 유리구슬을 중심으로
-
이유진;
김은아;
김규호;
국립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;
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;
국립공주대학교;
(보존과학회지,
v.41,
2025,
pp.123-142)
-
40.
- 다공성 키토산 구슬을 이용한 가토 연골세포의 배양
- 김경환
-
중앙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24p., 200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