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줄거운 유니하우스
-
이금이;
;
(창비어린이,
v.11,
2013,
pp.114-129)
-
32
-
A Comparative Analysis of disability narrative in Children’s Literature by Lee, Geum-ee -About short stories “My Friend Jaeduk”, short stories “Jaeduk the Santa Clause”, serial collection “My Friend Jaeduk”, nursery story “Just a Little Different from Me”-
-
Jang, Min-ju;
;
(한국아동문학연구= A study on the Korea children's literature,
v.40,
2021,
pp.105-143)
-
33.
- 청소년문학의 이론과 실제 : 성장소설의 유형을 중심으로
- 김은정
-
서울시립대학교, 국내석사,
[iii], 88 p., 2005
-
34
-
이금이 아동문학의 장애서사 비교 분석 -단편동화「내 친구 재덕이」,「산타로 온 재덕이」, 연작동화집『내 친구 재덕이』, 장편동화『나와 조금 다를 뿐이야』를 중심으로-
-
장민주;
경희대학교;
(한국아동문학연구,
v.40,
2021,
pp.105-143)
-
35
-
소설 『유진과 유진』 뮤지컬 텍스트 각색 연구 - 메타연극적 특성을 중심으로-
-
유채하;
조준희;
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;
동국대학교;
(연극교육연구,
v.45,
2023,
pp.91-111)
-
36
-
회복탄력성을 위한 문학적 글쓰기 교수․학습 활동 결과 분석 - 청소년 소설『소희의 방』을 대상으로 -
-
정은주;
경상국립대학교;
(한국아동문학연구,
v.47,
2023,
pp.347-392)
-
37.
- 청소년 문학 교육 연구
- 서현주
-
창원대학교, 국내석사,
61p.(단면), 2008
-
38.
- 청소년소설에 나타난 성장의 양상 연구
- 성영미
-
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v, 99 p., 2014
-
39.
- 가족 결손 성장 서사물 연구
- 황현숙
-
韓南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113 p., 2006
-
40
-
‘여인의 일생’과 가족사 소설의 현대적 변용 연구 ― 「파친코」, 「알로하, 나의 엄마들」, 「밝은 밤」을 중심으로 ―
-
강유진;
중앙대학교;
(어문론집,
v.93,
2023,
pp.269-30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