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전주이씨 덕천군파 이경직 가문의 내력과 지역적 전개
-
이남옥;
김천대학교;
(양명학,
v.0,
2020,
pp.149-178)
-
32
-
남계 박세채의 예론과 고금절충론적 특징
-
이남옥;
한국학중앙연구원;
(동양고전연구,
v.0,
2017,
pp.209-235)
-
33
-
정인보의 학문 연원과 조선학 인식
-
이남옥;
한국전통문화대학교;
(유학연구,
v.38,
2017,
pp.213-240)
-
34
-
하곡 예론(霞谷禮論)의 변화 양상
-
이남옥;
한국전통문화대학교;
(포은학연구,
v.18,
2016,
pp.135-168)
-
35
-
霞谷 『大學說』의 經學史的 의미
-
이남옥;
한국학중앙연구원;
(역사와 실학,
v.0,
2011,
pp.5-37)
-
36
-
『오한집』 간행과 칠탄서원 건립의 역사적 의미
-
이남옥;
재 한국국학진흥원;
(韓國史學史學報,
v.0,
2021,
pp.5-31)
-
37
-
제주 목사 이형상의 풍속 교화와 폐정 개혁 정책
-
이남옥;
재 한국국학진흥원;
(국학연구,
v.0,
2022,
pp.263-288)
-
38
-
지천 최명길의 사상적 배경과 주화론
-
이남옥;
한국학중앙연구원;
(백산학보,
v.0,
2018,
pp.5-21)
-
39
-
하곡 정제두의 준론탕평론
-
이남옥;
한국학중앙연구원;
(양명학,
v.0,
2017,
pp.155-182)
-
40
-
하곡 정제두의 인적네트워크- 혼인관계와 墓道文字 찬자를 중심으로 -
-
이남옥;
한국전통문화대학교;
(양명학,
v.0,
2018,
pp.141-17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