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36건 중 136건 출력
, 4/14 페이지
-
31
-
신라・백제의 境界와 아막성과 가잠성
-
이도학;
한국전통문화대학교;
(고조선단군학,
v.46,
2021,
pp.205-240)
-
32
-
백제 부흥운동의 시작과 끝 , 임존성
-
이도학;
;
(백제문화,
v.0,
1999,
pp.191-204)
-
33
-
高句麗와 百濟의 出系 認識 檢討
-
이도학;
한국전통문화학교;
(고구려발해연구,
v.20,
2005,
pp.175-191)
-
34
-
太王陵과 將軍塚의 被葬者 問題 再論
-
이도학;
한국전통문화학교;
(고구려발해연구,
v.19,
2005,
pp.119-147)
-
35
-
서평 : 이종수, 『부여의 얼굴 』(동북아역사재단, 2021)
-
이도학;
한국전통문화대학교;
(고조선단군학,
v.47,
2022,
pp.391-423)
-
36
-
나의 부여사 연구
-
이도학;
한국전통문화대학교;
(고조선단군학,
v.49,
2022,
pp.297-343)
-
37
-
중국 漢代 방언사전 『方言』에 수록된 北燕지역 어휘와 고대 몽골어의 친연관계 고찰 試論
-
정재남;
이도학;
변지원;
주몽골대한민국대사;
한국전통문화대학교;
한국방송통신대학교;
(몽골학,
v.0,
2019,
pp.25-54)
-
38
-
弁韓 ‘國出鐵’ 論의 檢證과 意味
-
이도학;
한국전통문화대학교;
(고조선단군학,
v.39,
2018,
pp.93-124)
-
39
-
단군조선 관련 在野文獻에 대한 남⋅북한 연구 성과의 현 단계
-
이도학;
한국전통문화대학교;
(온지논총,
v.0,
2019,
pp.169-204)
-
40
-
太王陵과 將軍塚의 被葬者 問題 再論
-
이도학;
한국전통문화학교;
(고구려발해연구,
v.19,
2005,
pp.119-14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