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32건 중 232건 출력
, 4/24 페이지
-
31
-
The Practical Acts, Traks of Adaptive Creation : Focused of Bibliographical Examines of Lee Mu-yeong’s Japanese Novel
-
Kim, Hoyoen;
;
(한국기독교문화연구 = The institute for korean christianity culture,
v.12,
2019,
pp.209-233)
-
32
-
암흑기(말)문학의 주류-이무영을 주로한 농민문학의 민족문학적 성찰-
-
오양호;
;
(語文學 : 한국어문학회 =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31,
1974,
pp.63-89)
-
33
-
이무영의 장편소설 『농민』 3부작 연구
-
조정래;
서경대학교;
(국제어문,
v.0,
2014,
pp.183-208)
-
34
-
1930년대 이무영 아동문학 연구
-
정진헌;
김승덕;
안동대학교;
건국대학교;
(한국아동문학연구,
v.0,
2016,
pp.173-196)
-
35
-
이무영의 「삼년」에 나타난 죽음의 양상과 의미
-
김종욱;
세종대학교;
(우리말글,
v.50,
2010,
pp.297-319)
-
36
-
이무영 소설 『향가』의 개작과 검열 연구
-
김영애;
고려대학교;
(현대소설연구,
v.0,
2021,
pp.43-64)
-
37
-
이무영의 ⟨농민⟩ 연작에 나타난 소문의 의미
-
김종욱;
서울대학교;
(현대소설연구,
v.0,
2005,
pp.173-192)
-
38
-
이무영의 친일문학과 그 내적 논리
-
임기현;
충북대학교;
(어문학,
v.0,
2009,
pp.461-494)
-
39
-
농민소설의 텍스트 상호전이문제 연구-이태준·이무영·이근영의 1940년대 농민소설을 중심으로-
-
오양호;
;
(語文學 : 한국어문학회 =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59,
1996,
pp.303-318)
-
40
-
1930년대 소설의 공간설정과 작가의식의 상관성 연구 - 김유정과 이무영을 중심으로 -
-
김종건;
;
(대구어문론총,
v.15,
1997,
pp.389-43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