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06건 중 106건 출력
, 4/11 페이지
-
31
-
현곡(玄谷)의 생리학설와 지산(芝山)의 형상학설의 비교 연구
-
김경철;
이해웅;
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진단학교실;
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;
(한국의사학회지 =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,
v.32,
2019,
pp.19-27)
-
32
-
조선시대(朝鮮時代) 현종(顯宗), 숙종(肅宗), 경종(景宗), 영조(英祖)의 질병(疾病)과 치료(治療)
-
이해웅;
김훈;
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;
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;
(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=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,
v.19,
2006,
pp.228-254)
-
33
-
부맥주병에 대한 연구
-
Kim, Gyeong-Cheol;
Ryu, Gyeong-Ho;
Lee, Hae-Ung;
Kim, Jung-Han;
Kim, Hun;
Du, Seung-Hui;
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진단학교실;
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진단학교실;
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;
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;
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;
동의대학교 중어중문학과대학원;
(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=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,
v.24,
2011,
pp.65-70)
-
34
-
윤길영(尹吉榮)의 변증론(辨證論) 변천(變遷) 연구(硏究)에 대한 고찰
-
김경철;
이해웅;
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진단학교실;
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;
(大韓韓醫診斷學會誌 = The journal of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Diagnostics,
v.19,
2015,
pp.151-158)
-
35
-
조선시대(朝鮮時代) 철종(哲宗)의 질병(疾病)에 관한 고찰 - 『일성록(日省錄)』을 중심으로 -
-
이해웅;
김훈;
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;
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;
(한국의사학회지 =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,
v.25,
2012,
pp.11-27)
-
36
-
『제병원후론(諸病源候論)』 《숙식불소병제후(宿食不消病諸候)》에서 <양생방도인법(養生方導引法)>의 동작(動作) 구현(具顯)에 관한 고찰
-
송경훈;
김경철;
이해웅;
라라한방병원;
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진단학교실;
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;
(대한예방한의학회지 =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,
v.26,
2022,
pp.87-96)
-
37
-
흰쥐의 전층피부손상에서 온청음(溫淸飮)이 신생혈관형성에 미치는 영향
-
김범회;
이해웅;
손낙원;
박동일;
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한의학과, 동의대학교 한의학연구소;
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한의학과, 동의대학교 한의학연구소;
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;
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한의학과, 동의대학교 한의학연구소;
(대한예방한의학회지 =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,
v.14,
2010,
pp.97-110)
-
38
-
IPA기법을 이용한 한양방 의원 서비스품질의 비교 분석
-
이정원;
이해웅;
동의대학교 의료보건생활대학 의료경영학과;
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, 한의학교육실;
(대한예방한의학회지 =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,
v.21,
2017,
pp.65-73)
-
39
-
통속한의학원론(通俗韓醫學原論) 음양편(陰陽篇)에 관한 고찰(考察)
-
김훈;
이해웅;
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;
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;
(한국의사학회지 =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,
v.24,
2011,
pp.17-24)
-
40
-
조선전기(朝鮮前期) 임금들의 피부병(皮膚病)에 관한 고찰 - 『조선왕조실록(朝鮮王朝實錄)』을 중심으로 -
-
이해웅;
이상협;
김훈;
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;
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;
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;
(한국의사학회지 =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,
v.27,
2014,
pp.145-15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