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조선 전기 사대부사류사림의 용례
-
이희환;
전북대학교;
(역사학연구,
v.0,
2005,
pp.167-190)
-
32
-
조선 후기 당쟁의 원인
-
이희환;
전북대학교;
(역사학연구,
v.0,
2010,
pp.467-491)
-
33
-
식민지 체제하, 자국문학사의 수립이라는 난제 ― 안자산의 『조선문학사』가 놓인 동아시아 문학사의 맥락
-
이희환;
인하대학교;
(국학연구,
v.0,
2010,
pp.9-45)
-
34
-
효종대의 정국과 북벌론
-
이희환;
전북대학교;
(전북사학,
v.0,
2013,
pp.201-222)
-
35
-
해방기 인천의 지역문학과 매체
-
이희환;
인하대학교;
(영주어문,
v.19,
2010,
pp.5-44)
-
36
-
19세기 말 동아시아의 조규-조약체제와 인천의 청・일 전관조계
-
이희환;
사단법인 시민과대안연구소;
(해항도시문화교섭학,
v.0,
2015,
pp.171-208)
-
37
-
조선 후기 붕당·사림정치론의 재검토
-
이희환;
전북대학교;
(역사학연구,
v.0,
2008,
pp.251-280)
-
38
-
해방기 김영건의 문학 활동과 비평사적 의의
-
이희환;
인하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09,
pp.135-171)
-
39
-
광해군대의 정국과 이이첨
-
이희환;
전북대학교;
(전북사학,
v.0,
2011,
pp.47-76)
-
40
-
인조대의 정치적 논쟁과 인조
-
이희환;
전북대학교;
(전북사학,
v.0,
2014,
pp.79-10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