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54건 중 454건 출력
, 4/46 페이지
-
31
-
일연의 호와 혼구의 호
-
박노춘;
;
(語文 硏究 : 한국어문교육연구회,
v.8,
1980,
pp.168-170)
-
32
-
『삼국유사』의 편목과 일연(一然)의 신라 불교 인식
-
김희만;
서강대학교 디지털역사연구소;
(한국사상사학,
v.0,
2023,
pp.107-147)
-
33
-
『삼국유사』의 ‘사(師)’와 일연(一然)의 승려 인식
-
김희만;
한국학중앙연구원;
(한국학,
v.42,
2019,
pp.91-127)
-
34
-
《三國遺事》에 나타난 一然의 佛敎史觀
-
金相鉉;
;
(韓國史硏究= The journal of Korean history,
v.1978,
1978,
pp.19-60)
-
35
-
일연 사상의 고유성과 독특성
-
조경철;
연세대학교;
(불교철학,
v.9,
2021,
pp.77-103)
-
36
-
『三國遺事』를 통해 본 일연 불교사상의 실천적 의지 - 『重編曹洞五位』의 논리에 입각하여
-
Kim, Na-Yeong;
;
(韓民族語文學 = Hanminjok Emunhak,
v.66,
2014,
pp.253-298)
-
37
-
몽골전란과 『삼국유사』의 일연 -『삼국유사』를 통해서 본 몽골전란-
-
윤용혁;
공주대학교;
(한국중세사연구,
v.0,
2022,
pp.107-140)
-
38
-
曹洞五位의 전승에 대한 一然과 淨訥의 대응 고찰
-
김호귀;
동국대학교;
(불교연구,
v.0,
2019,
pp.61-83)
-
39
-
一然의 禪思想과 『三國遺事』의 상관성
-
오대혁;
동국대학교;
(동악어문학,
v.0,
2013,
pp.39-73)
-
40
-
『삼국유사』탑상편과 일연의 불교미술사관
-
문명대;
;
(미술사학,
v.2,
1990,
pp.11-2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