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對淸使行의 종결과 마지막 연행록
-
임준철;
조선대학교;
(민족문화연구,
v.0,
2008,
pp.141-180)
-
32
-
『陶靖節集』과 조선시대 自挽詩 -⟨擬挽歌辭三首⟩의 수용 경로를 중심으로-
-
임준철;
고려대학교;
(한국시가문화연구,
v.0,
2015,
pp.239-274)
-
33
-
李言直과 張岱 自挽詩의 對比 연구 - 韓中 자만시 비교(2) -
-
임준철;
고려대학교;
(한국시가문화연구,
v.0,
2016,
pp.185-212)
-
34
-
한국 한시에서의 도연명 ⟨擬挽歌辭⟩ 수용과 변주
-
임준철;
조선대학교;
(한국한시연구,
v.0,
2013,
pp.291-333)
-
35
-
陶淵明의 ⟨擬挽歌辭三首⟩와 조선시대 自挽詩 -韓中 자만시 비교 (1)-
-
임준철;
고려대학교;
(대동한문학(大東漢文學),
v.41,
2014,
pp.459-493)
-
36
-
한국 畵像自贊의 典型과 變奏
-
임준철;
조선대학교;
(漢文敎育論集,
v.0,
2012,
pp.237-278)
-
37
-
조선시대 自挽詩의 특수 유형
-
임준철;
고려대학교;
(어문논집,
v.0,
2015,
pp.5-37)
-
38
-
畵像自贊類 문학의 존재양상과 자아형상화 방식의 특징
-
임준철;
조선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09,
pp.259-300)
-
39
-
조선 최초의 북경 使行詩, 張子忠의 『判書公朝天日記』 연구
-
임준철;
조선대학교;
(한국시가연구,
v.34,
2013,
pp.251-285)
-
40
-
조선 전기 和陶詩의 轉變
-
임준철;
고려대학교;
(한국한문학연구,
v.0,
2015,
pp.7-4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