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와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의 연계를 통한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성취 특성 분석
-
임해미;
김수진;
김경희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(數學敎育學硏究 =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,
v.22,
2012,
pp.1-22)
-
32
-
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규준기반 지표를 활용한 수학과 정의적 성취 특성 분석
-
박인용;
이광상;
임해미;
김부미;
전경희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원광대학교;
강남대학교;
(교육과정평가연구,
v.20,
2017,
pp.195-219)
-
33
-
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공학 도구 활용 자료 개발 연구
-
임해미;
신동조;
박진형;
조진우;
이지연;
한현구;
신보미;
공주대학교;
부산대학교;
경인교육대학교;
공주교육대학교;
공주여자고등학교;
대전과학고등학교;
전남대학교;
(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=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,
v.27,
2024,
pp.43-69)
-
34
-
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수학과 정의적 영역 설문 문항 개발
-
이광상;
임해미;
박인용;
서민희;
김부미;
;
(교육과정평가연구,
v.19,
2016,
pp.45-70)
-
35
-
Individualized diabetes nutrition education improves compliance with diet prescription
-
임해미;
박지은;
최영주;
허갑범;
김화영;
이화여자대학교;
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;
21세기당뇨병혈관연구소;
21세기당뇨병혈관연구소;
이화여자대학교;
(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,
v.3,
2009,
pp.315-322)
-
36
-
PISA 2009 결과를 중심으로 한우리나라와 상하이의 수학교육 현황 비교 분석
-
임해미;
전영주;
;
(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,
v.16,
2013,
pp.863-882)
-
37
-
PISA 2012 공개 문항을 활용한 예비수학교사의 수학내용지식 분석 사례연구
-
임해미;
이민희;
;
(수학교육,
v.54,
2015,
pp.207-222)
-
38
-
The Trends and What's New in the OECD PISA and Its items
-
임해미,;
;
(교과교육학연구 =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,
v.17,
2013,
pp.971-990)
-
39
-
수학과학통합교육의 설계 및 실행에 대한 연구
-
이혜숙;
임해미;
문종은;
;
(수학교육,
v.49,
2010,
pp.175-198)
-
40
-
미국의 차세대 평가 PARCC와 Smarter Balanced 평가 비교 분석을 통한 평가 개선 방안 -6학년 수학을 중심으로-
-
김성숙;
임해미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(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,
v.15,
2015,
pp.771-79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