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팔루스에 대한 여성 욕망과 유동하는 정체성 –신경숙 은희경 전경린의 소설을 중심으로
-
박형숙;
소속없음;
(여성문학연구,
v.0,
2023,
pp.45-70)
-
32
-
팔루스에 대한 여성 욕망과 유동하는 정체성 –신경숙 은희경 전경린의 소설을 중심으로
-
박형숙;
;
(여성문학연구,
v.0,
2023,
pp.45-70)
-
33
-
A Study on the Narrative of ‘Infidelity’ Appeared in Feminism Novels in the 1990s - Focusing on novels of Gyeongrin Jeon and Heekyung Eun
-
Kim, So-ryun;
;
(현대소설연구 =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,
v.85,
2022,
pp.37-62)
-
34
-
A Life of Living Alone in Middle Age, A Life of Looking Back on Myself - Focusing on Kim Hoon’s 〈Gangsanmujin〉 and Jeon Kyung-rin’s 〈Passenger〉 and 〈Hap〉
-
Park, Sun-Ae;
;
(한국문학과예술 = The Korean literature and arts,
v.47,
2023,
pp.181-215)
-
35
-
한국 현대소설에 나타나는 새의 이미지와 여성의식 연구 -전경린, 한강, 김숨의 작품을 중심으로
-
양현진;
이화여자대학교;
(현대문학이론연구,
v.0,
2011,
pp.245-270)
-
36
-
1990년대 여성 소설에 나타난 ‘불륜’ 서사에 관한 고찰 - 전경린과 은희경의 소설을 중심으로 -
-
김소륜;
이화여자대학교;
(현대소설연구,
v.0,
2022,
pp.37-62)
-
37
-
동화와 페미니즘의 만남-전경린의 『여자는 어디에서 오는가』를 중심으로 살펴본 여성성의 의미
-
김화선;
충남대학교;
(여성문학연구,
v.0,
2002,
pp.261-282)
-
38
-
1990년대 여성작가의 섹슈얼리티 재현방식 연구 – 은희경과 전경린의 초기소설을 중심으로
-
김예니;
성신여자대학교;
(여성문학연구,
v.0,
2022,
pp.375-410)
-
39
-
동화와 페미니즘의 만남-전경린의 『여자는 어디에서 오는가』를 중심으로 살펴본 여성성의 의미
-
김화선;
;
(여성문학연구,
v.0,
2002,
pp.261-282)
-
40
-
계몽의 예외상태와 여성의 타자성의 사랑 - 전경린의 「사막의 달」과 「염소를 모는 여자」를 중심으로
-
나병철;
한국교원대학교;
(한국현대문학연구,
v.0,
2018,
pp.129-15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