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,407건 중 1,000건 출력
, 4/100 페이지
-
31
-
전후 모더니즘 문학론에서 서구사조의 수용
-
이진영;
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 = Korean literary theory and criticism,
v.13,
2001,
pp.178-201)
-
32
-
전후문학에 나타난 '휴머니즘 담론' 연구-<유에>를 중심으로
-
이정석;
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 = Korean literary theory and criticism,
v.6,
1999,
pp.319-342)
-
33
-
‘새로운 전쟁’과 일본 전후문학의 사상공간
-
서동주;
서울대학교;
(동방학지,
v.0,
2012,
pp.3-35)
-
34
-
유럽통합 전후(前後) 유럽문학의 의미 - ‘차이의 문학’에 비추어 보기 -
-
박선아;
연세대학교;
(프랑스학연구,
v.0,
2009,
pp.81-101)
-
35.
- 1920年代 美國의 戰後文學
- 김양옥
-
全南大學校 敎育大學院, 국내석사,
47 p., 1980
-
36
-
전후 일본문학의 자기표상과 보수주의 - 나카노 시게하루 「비내리는 시나가와역」의 전후 수용을 중심으로
-
서동주;
;
(日本語文學= Korean Journal of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,
v.38,
2008,
pp.89-108)
-
37.
- 해방전후의 역사적 전환과 문학적 인식
- 김민수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ⅳ, 227, 2022
-
38
-
전후 일본의 기억과 망각 : ‘고바야시 마사루 문학’이라는 단층지대
-
최, 범순;
;
(日本語文學= Korean Journal of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,
v.78,
2018,
pp.77-103)
-
39
-
전후 소설의 성격과 이범선 문학
-
하정일;
원광대학교;
(한국문학연구,
v.0,
1999,
pp.5-21)
-
40
-
조연현 비평에서 ‘문학’과 ‘정치’ - 일제 말기와 전후 비평을 중심으로
-
고봉준;
;
(한국근대문학연구 =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,
v.2010,
2010,
pp.87-111)